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겨울철 부모님 건강챙기기 ①]물건 들 때 허리통증 호소…추간공협착층 일 수도
-허리디스크로 혼동하면 치료 차도 없어…부모님 증상 유심히 살펴야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에 비해 비교적 생소한 질환인 추간공협착증은 나이가 들면서 척추에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 하나다. 비슷한 협착증세인 척추관협착증이 척수신경이 지나가는 척수관이 퇴행성변화에 의해 좁아져 발생하는 질환인데 비해 추간공협착증은 척추관을 빠져 나오는 신경다발이 지나가는 공간인 추간공(신경공)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질병이다. 


척추관을 빠져 나와 팔이나 다리로 가는 신경이 지나가는 길인 추간공(신경공) 부위가 좁아져 신경이 눌리게 되고 이 때문에 목과 팔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허리와 다리에 통증이 생긴다.

추간공협착증은 신경관이 좁아지는 부위와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목부위 추간공협착증은 목이 결리고 쑤시며 팔이 저리거나 아픈 통증이 나타나게 되고, 허리 부위의 추간공에 협착이 발생하면 허리통증과 함께 다리가 저리고 아픈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추간공협착증의 발병원인은 오랜 시간에 걸친 척추의 퇴행성 변화가 주요한 요인이다. 반복적인 나쁜 자세로 인해 디스크가 늘어나거나 척추가 마모되면서 작은 가시 모양으로 뼈가 자라나 신경이 빠져나가는 추간공을 좁아지게 해 이곳을 지나는 신경을 압박하면 발생한다.

▶허리디스크ㆍ척추관협착증과 증상 달라…증상 유심히 살펴야=허리가 아프고, 다리까지 통증이 느껴진다는 점에서 추간공협착증은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과 유사하지만 세부적인 증상은 다르다. 때문에 부모님의 호소하는 증상을 꼼꼼히 체크할 필요가 있다.

우선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구부리면 통증이 호전되는 등 자세에 따른 증상의 변화가 있지만 추간공협착증은 측면으로 뻗어가는 신경이 압박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자세에 따른 통증변화가 없다.

보통 걷거나 누워 있을 때는 별다른 고통을 느끼지 못하다가 앉는 자세를 취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 허리에 무게가 실리면 엉덩이와 다리가 저리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 증상의 특징이다.

추간공협착증은 자세와 상관없이 통증이 느껴진다는 점에서 허리디스크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낸다. 하지만 허리디스크는 증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졌다가를 반복하는 반면에 추간공협착증은 지속적으로 증상이 발현되며 악화되는 특징이 있다.

이승철 바른세상병원 척추센터 센터장(신경외과 전문의)은 “만약 부모님께서 무거운 물건을 들 때 허리통증을 심하게 호소하시거나 걷거나 누워있을 때는 통증이 없다가 앉아있을 때 지속적인 통증을 호소하신다면 추간공협착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오래 앉아 있거나 서있지 말고, 한 쪽으로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 삼가해야=추간공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경을 압박하는 자세를 피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오래 앉아 있는 다거나 서 있는 자세는 추간공을 더욱 좁게 만들어 통증이 심해질 수 있으니 삼가는 것이 좋다. 또 한쪽으로만 계속 물건을 드는 습관도 고치는 편이 좋다.

일반적으로 “추간공협착증” 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척추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인 걷기나 수영 등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추간공협착증으로 인한 통증이 심할 때는 감압신경성형술이나 무중력 감압술과 같은 비수술 치료법이 시행된다. 감압신경 성형술은 1㎜ 내외의 절개구로 환자의 꼬리뼈를 통해 특수 주사바늘을 삽입한 뒤 환부에 직접 약물을 투입해 염증을 가라앉히는 시술로 빠른 통증 감소효과가 있다.

무중력 감압술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 집중견인치료가 필요한 곳을 무중력 상태로 만들어 혈액순환을 돕고 신생 조직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을 때는 미세현미경 신경공감압술을 시행해볼 수 있다.

th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