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중권력 동거·분당·재창당…새누리 ‘해체의 질서’만 남았다
친박 “거국내각후 내년1월 전대”
비박 “즉각 당 해산절차 돌입을”
박대통령 결단이 최대변수로



해산 아니면 분당. 새누리당 앞에 놓인 선택지의 ‘사실상’ 전부다. 이미 이정현 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박(親박근혜)계 지도부는 내년 1월 21일 조기전당대회를 열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야권과의 거국내각 총리 협상은 물론, 과도기 지도체제(비상대책위원회 등) 수립에도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러나 비박(非박근혜)계 주도 비상시국준비위원회는 “당장 당 해체(해산) 절차에 들어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친박계 지도부 체제 아래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2선 퇴진 선언 이후에도 야권과의 거국내각 총리 협상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핵심이다. 새누리당을 ‘최순실 게이트’의 공범으로 보는 국민 앞에 재창당 수준의 쇄신을 보여야 한다는 위기감도 크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당분간 이중권력의 동거를 이어갈 전망이다. 양측이 모두 뜻을 굽히지 않는 가운데 후속 행보를 촉발할 만한 ‘밑그림’이 아직 나오지 않았다. 박 대통령의 거취 표명과 비상시국준비위의 후속 대응방안 마련이 그것이다.

이 대표는 이날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도부가) 새 로드맵을 발표한 만큼 모두가 단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당의 해체같은 말씀은 자제하고, 신중하게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비상준비위를 압박했다. 반면 김무성 전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현 지도부는 당원 다수의 불신을 받고 있다”며 “(조기전대 제안도) 위기를 모면하려는 꼼수”라고 했다.

실제 ‘즉시 당 해산’을 선언하기는 했지만 비상시국준비위가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새누리당 당헌ㆍ당규상 ‘해산안(案)’을 의결하려면 전당대회를 소집해야 한다. 이 대표 등 친박계가 장악한 최고위원회의 의결이 필요한 일이다. 대안은 상임전국위원회를 설득해 ‘임시전대’를 열거나, 전국위원회 전체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다.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다만, 박 대통령이 2선 퇴진을 선언하고 거국내각 총리 지명 및 별도특검 도입을 위한 여야 협상이 시작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야권이 친박계 지도부를 ‘협상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는 가운데, 비상시국준비위를 포함한 별도의 여야 협의체가 만들어질 수 있다. 야권의 선택에 의해 이 대표 지도부가 ‘식물화’하고, 비상시국준비위가 힘을 받는 시나리오다.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물러나야 마땅한 지도부가 거국내각을 말하는 것은 곧 거국내각을 망가뜨리고자 하는 의도”라며 “이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이정현 지도부를 협상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기조”라고 했다.

이 같은 양상에도 양측의 대립이 출구 없이 지속된다면 새누리당이 분당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친박계 지도부가 조기전대 시점을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의 귀국 즈음으로 잡고 망부석처럼 앉아 후일을 도모하는 형국”이라며 “당 해산을 통한 이미지 쇄신이 뜻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비박계 대선잠룡 및 측근, 소장파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탈당ㆍ분당과 신당 창당 행렬이 시작될 수 있다”고 했다. 여야가 무너진 4당 체제의 출발이다.

이슬기ㆍ유은수 기자/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