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촛불집회 이후 정국, 與野 동상이몽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촛불집회 이후 정국을 전망하는 여야가 엇갈린다. 여권은 촛불집회 이후 야권이 사태 수습 국면에 나설 것이라 내심 기대하고, 야권은 오히려 박근혜 대통령 압박 강도를 높이려는 분위기다. 다만, 박 대통령이 명확한 권한이양 등을 선언하면 극적으로 타협점을 도출할 가능성도 있다.

일단 여권은 촛불집회 이후 이젠 수습 국면에 접어들기를 기대하고 있다. 기저에는 야권 역시 국정정상화를 끝까지 외면할 수 없으리란 분석이 깔렸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촛불집회 직전 국회에서 “장외집회를 평화롭게 마치고 국정 수습을 위한 협의에 나서주길 바란다”며 “야당이 대화 자체를 거부하는 건 국민적 동의를 받기 어렵다. 두 야당이 (촛불집회 이후) 대화 테이블에 나오길 바란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로 ‘경제ㆍ안보 위기론’을 강조하고 국정정상화를 주장하는 것도 야권을 압박하는 전략이다. 거리가 아닌 국회에서 풀어야 할 숙제들이 있다는 논리로 야권을 압박할 공산이 크다. 

야권은 민심을 우선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지난 12일 촛불집회에 야3당이 모두 참석을 확정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오히려 촛불집회를 통해 민심을 확인한 만큼 야권은 박 대통령을 향한 압박 강도를 더 높이겠다는 기류가 강하다.

물론 야권은 현재 민심보단 한층 신중한 입장이다. 탄핵이나 하야보다는 박 대통령이 스스로 2선 후퇴를 선언하는 방안을 우선하고 있다. 탄핵ㆍ하야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자는 이유에서다. 야권은 촛불집회를 계기로 박 대통령이 하루빨리 스스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압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명시적으로 권한이양 의사를 선언하면, 그 뒤론 국회 책임 총리나 거국내각 구성 등을 논의할 명분이 생긴다. 역으로, 박 대통령이 이 같은 입장을 표명하지 않으면 야권으로서도 무작정 대화에 나설 수 없는 국면이다. 

만약 박 대통령의 권한이양 선언이 조기에 나오면, 극적으로 책임총리ㆍ거국내각 구성 논의 등이 속도가 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야권은 박 대통령 수사 및 진상 규명을 투트랙으로 진행, 지속적으로 검찰 수사를 압박하고 국정조사나 별도특검 등을 추진하는 수순이다.

박 대통령이 끝까지 현행 입장을 고수하면, 거국내각 대신 조기대선론이 한층 탄력받을 것으로 보인다. 거국내각은 지도력 등에서 어차피 한계가 있는 만큼 박 대통령 퇴진 운동에 야권이 집중하고 그 현실적인 대안으로 조기대선을 치르자는 주장이다. 이미 야권 일각에서 여러 차례 제기된 방안이기도 하다. 현재로선 다소 극단적인 주장으로 평가받지만, 현실적으로 박 대통령의 2선 후퇴 선언을 얻어내기 어렵다고 분위기가 모이면 그땐 오히려 조기대선론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거론될 수 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