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보호무역 강화 우려…철강, 앞날 캄캄
반덤핑·상계관세 부과 조치 등

‘트럼프 정부’ 통상규제 강화 예고

포스코·현대제철 등 열연·냉연강판

“추가 관세 부과 신호탄” 우려

한미FTA 재협상 천명도 부담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한국 철강업계가 깊은 시름에 빠졌다. 트럼프가 후보 시절 내내 강력한 ‘보호무역주의’를 천명해온 터라 미국으로의 한국 철강재 수출에 짙은 먹구름이 꼈다.

10일 KOTRA,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트럼프의 당선으로 한국산 철강재의 반덤핑, 상계 관세 부과 조치와 같은 통상규제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철강업계는 올해 들어 미국 상무부가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열연, 냉연강판에 추가 관세를 부과한 것은 신호탄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당시 포스코는 열연 강판에 반덤핑, 상계 관세를 더해 최대 61%의 ‘관세 폭탄’을 맞았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힐러리 당선을 전제로 오바마 정부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 대비해왔다”며 “트럼프의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기조는 한국 철강업체들에게 큰 타격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트럼프 정부는 그동안 관세 부과까지 복잡했던 절차를 정부 주도로 일원화할 방침이다. 그동안 미국 내 철강업체가 특정국 업체의 품목에 대해 제소해야 상무부가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미 정부가 자체적으로 알아서 규제를 하겠다는 방침이다.

앞서 미국 내 통상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당선된다면 ‘대통령의 권능’으로 특정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대통령이 직접 행정명령을 통해 ‘슈퍼301조’와 같은 강력한 법을 부활시켜 무역규제에 나설 수 있다는 것. 이렇게 되면 대통령이 관세 부과, 수입 제한 등 무역규제에 대한 상당한 재량권을 갖고 칼을 휘두르게 된다.

철강업계는 당장의 대안으로 대미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열연강판 수출은 2015년 기준 116만 톤으로, 그중 포스코 80만 톤, 현대제철 30만 톤 수준이다. 금액 기준으로 포스코가 3950억 원, 현대제철 2100억 원으로, 이는 회사별 총매출 대비 포스코 1.5%, 현대제철 1.5%가량 된다.

그나마 최근 몇 년 새 철강재의 대미 수출 의존도가 떨어져 타격은 줄어들 전망이다. 2014년 전체 대미 수출량 대비 철강재는 8.2%(57억 5400만 달러)를 차지했지만, 2015년 5.5%, 2016년 1~9월 기준 4.8%로 낮아졌다. 불과 2년 새 반 토막에 가까운 수준으로 수출량이 급격히 줄어든 셈이다.

수출 품목을 고부가가치강으로 변화시켜 시장 불안정성에 대비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포스코 고위 관계자는 ”미국을 제외한 타국가로 수출을 다변화하고, WP(월드프리미엄) 제품과 자동차 강판 등 부가가치강 판매 확대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근 자동차 경량화 소재로 기가급 초고장력 강판을 개발하고, 티타늄, 마그네슘 등 소재 다변화에 눈을 돌리는 것도 이 같은 전략과 맞물려있다.

앞서 권오준 회장도 각국 통상규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당장 방법이 있는 건 아니고, 장기적 관점에서 포스코만 생산할 수 있는 철강재를 생산해 파는 게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 외 만일 미국서 철강재 관세 부과 등 움직임이 포착되면 발 빠르게 사전 조율에 나서는 방안도 거론된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장은 “철강업계나 단체에서 미리 미국 측 동향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며 “한미 FTA 조항에 관세 부과 전 업체에 사전 통지하고, 가격을 협상하도록 하는 제도가 명시돼 있는데, 미리 파악된 정보를 바탕으로 업계에서 발 빠른 대응에 나서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민선 기자/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