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유일호 “트럼프, 환율관련 압박 강화로 불확실성 확대” 우려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예상을 깨고 미국의 차기 대통령으로 당선된 것과 관련해 앞으로 보호무역주의와 환율 관련 압박 강화 등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유 부총리는 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면서 “그동안 정부는 부처 협의와 전문가 조언을 바탕으로 미 대선 결과에 따른 신정부 경제정책과 새로운 한-미 동반자관계 구축방향에 대해 종합 검토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9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86차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면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유 부총리는 “트럼프 후보자의 경우 국내정책에 있어 제조업 부흥, 인프라 투자확대 등을 통한 국내 일자리 창출을 정책의 우선목표로 둘 것으로 예상된다”며 “대외정책에 있어서는 현재보다 보호무역주의 성향과 주요국에 대한 환율관련 압박 강화 등 불확실성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대선과정에서의 공약이 실제 정책으로 구현될지는 예단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유 부총리는 앞으로 미 신행정부와 형성해나갈 한미 관계와 관련해 “우리정부는 양국이 전통적 안보 동맹국이자 경제협력 파트너로서 상호호혜적 이익을 향유할 필요가 있음을 지속적으로 강조할 예정”이라며 “글로벌 불확실성이 심화되어 성장과 정체의 기로에 있는 지금, 한-미 양국의 공조가 더욱 강화되고 진화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 협력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당선자가) 산업정책적 측면에서 인프라 투자 확대, 제조업 중심 정책,화석에너지 등 자원개발 등을 강조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런 분야에서 양국간 상호 이익을 향유할 수 있도록 교역ㆍ투자 확대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통상정책 변화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양국간 협의채널 등을 적극 활용해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의 미 의회 비준 여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주요 통상현안 등에 대한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통해 우리경제 영향을 최소화하고 기회요인을 최대한 활용하겠다”며 범정부 대응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