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우조선, 세계 최초 ‘쇄빙 LNG선’ 출항… ‘2미터 얼음도 깬다’
[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최초로 수주한 ‘쇄빙 액화천연가스운반선(쇄빙LNG선)’을 출항시킨다.

대우조선은 7일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러시아 국영선사 소브콤플롯의 쇄빙LNG선 완공 기념 행사를 열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선박은 길이 299m, 폭 50m로 17만2600㎥(우리나라 전체가 이틀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의 LNG를 싣고 최대 2.1m 두께의 얼음을 부수며 나갈 수 있는 ‘아크(ARC)-7’급 쇄빙LNG선이다. 얼음과 직접 맞닿는 선수와 선미 부분에는 일반 선박 강판보다 3배가량 두꺼운 70㎜ 두께의 초고강도 특수강판을 사용했다.
[사진설명=7일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열린 세계최초 쇄빙LNG선 완공 기념행사에서 이성근 부사장(왼쪽)이 소브콤플롯 로버트 톰슨 부사장(오른쪽)에게 감사패를 전달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4년 ‘야말 프로젝트’ 수주경쟁에서 척당 3억2000만달러에 쇄빙LNG선 15척 모두를 수주했다.

대우조선은 영하 52도에서도 모든 장비가 안정적으로 가동할 수 있는 방한처리 기술을 적용했다. 또 전후 양방향 쇄빙 운항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360도 회전이 가능한 15MW급 ‘아지포드 스러스터’3기를 장착했다. 상선분야 최초 특수 추진시스템과 연료공급장치 등도 탑재했다.

특히 LNG 탱크에서 발생하는 기화가스(BOG)를 추진연료로 엔진에 공급하는 LNG 연료공급장치(FGSS)와 발전기에 가스연료를 공급하는 D-VaCo 시스템 등 자체개발 기술을 적용한 것도 특징이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최근 진행된 해상시운전 및 가스선적 검사에서 추진시스템 고장을 가정한 검사 등 선주의 까다로운 요구 조건에도 지속적으로 가스연료를 공급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검사 직후 선주들은 감사의 편지를 보내오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성근 대우조선 부사장은 “앞으로 북극해 자원개발이 더욱 활발해 질 것을 예상해 지난 2008년부터 극지용 선박 연구개발과 투자를 선제적으로 진행해왔다”며 “이번 쇄빙LNG선의 성공적인 건조로 향후 극지용 선박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가지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선박은 오는 8일 옥포조선소를 출항해 북극해의 빙해지역으로 이동, 내년 1월 말까지 쇄빙성능 검증을 위한 ‘빙해 운항테스트’를 하게 된다. 이 과정을 마치게 되면 곧바로 러시아 야말반도 사베타항으로 이동해 최종 인도될 예정이다.

한편 대우조선은 첫 쇄빙LNG선 출항을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부터 2020년까지 순차적으로 14척을 선주 측에 인도할 계획이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