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청약경쟁·계약률 떨어질게 뻔한데…” 주택건설업계 곤혹속 대책마련 부심
실수요보단 투자수요 큰 역할

이번기회 체질변화 기대감도

정부가 3일 내놓은 11ㆍ3 대책에는 주택시장 과열의 주범이 분양권 전매차익을 노리고 접근한 투기수요라는 인식이 짙게 깔려 있다. 주택업계는 난처한 분위기다. 그간 주택공급에서 재미를 볼 수 있었던 데에는 실수요보다는 그런 투자수요의 역할이 컸기 때문이다.

특히 청약경쟁률로 드러나는 ‘흥행 성적표’는 온전히 얼마나 투자수요가 많은지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만 기번 기회에 이런 식의 공급 관례를 개조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11ㆍ3 대책을 받아들이는 주택ㆍ건설업계는 난처한 기색이 읽힌다. 당장 청약경쟁률과 계약률이 저조해질 것을 우려한다. 소비자들의 심리적인 위축이 불가피해서다. 각 업체들은 내년도 주택 공급계획을 짜는 데 고심을 거듭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11ㆍ3 대책으로 분양시장의 투기수요를 솎아내려 들면서 건설ㆍ주택업계는 청약경쟁률과 계약률이 떨어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방문객들이 가득 들어찬 견본주택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는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청약률 등에 목매는 업계의 관례를 개선해야 한다는 따끔한 목소리도 나온다.

한 대형 건설사 전략담당 임원은 “업계 종사자 입장에선 이번 대책이 급하게 나왔다는 감이 있다. 조금 더 시장 돌아가는 상황을 지켜봐도 됐을 것 같다”며 “내년 공급규모를 줄일 유인이 커졌다. 면밀하게 대응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는 “내년부터 공급 총량이 적어질 수밖에 없겠다. 소비자들이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업계도 공급이 신중해지며 전반적인 시장의 보수화가 예상된다”고 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정부의 조치로 건설경기 꺾이면서 경제 전반이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감도 있는 게 사실”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대형사들보다 중견업체들이 더 울상이다. 비즈니스 모델의 무게중심이 주택공급에 쏠려 있는 회사들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정부가 이미 공공택지 공급을 제한하면서 ‘부지 확보’에 비상이 걸린 터라 이번 대책이 ‘불난 집에 기름 얹는’ 격이라는 이야기마저 나온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앞으론 사업성을 높이기 위한 고민이 커질 것 같다”며 “정비사업장은 진행 일정이 정해져 있는 만큼 금융비용 등을 생각해서라도 그대로 진행하겠지만, 새로 땅을 받아서 곳들은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이번이 주택업계의 해묵은 관례를 깰 수 있는 기회라고 본다. ‘가수요 기대하고 편히 분양하는 식’은 안 된다는 자성의 목소리다.

이창무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나중에 쓸 수요를 먼저 끌어다 쓰면서 분양시장이 비대해졌다. 일정 부분은 건설사들이 자초한 부분도 있다”며 “사업 자체에 대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분양만 하고 떠나버리는 지금과 같은 구도로는 곤란하다”고 꼬집었다.

천현숙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언제까지 가수요에 의존할 순 없다. 건설업은 전통적으로 정책 의존도가 높은 분야인데 이번 기회에 자생력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작년과 올해 주택공급은 굉장히 많았지만 어차피 추세적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며 “체질을 바꾸는 고민을 건설업계가 해야 할 시점”이라고 고언했다.

박준규 기자/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