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야권, 이제 국정에 협조하라…전문가 의견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대국민담화를 통해 대국민 참회와 함께 검찰 수사 수용, 기업인에 대한 사과 등의 의사를 직접 밝히면서 이제 공은 야권에게 넘겨졌다. 현재 야권은 김병준 총리 내정자 인선 등 일방통행식 인사에 반발하며 탄핵ㆍ하야 등 헌정 중단도 불사한다는 강경한 입장이다.

하지만 국정혼란을 조속히 수습해야 하는 엄중한 상황이고, 대통령이 추가로 대국민사과와 함께 수습안을 내놓은 만큼 야권도 이제는 국정운영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두번에 걸친 대통령 대국민담화를 이제는 진심 어린 사과로 받아들이고 청와대의 후속조치에 야권이 협조해야 되야 한다는 것이다.


채진원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는 “대통령이 진심 어린 사과를 하고 검찰수사를 받겠다고 하면 청와대가 총리로 내정한 김병준 교수 등을 야당이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나”며 ”정치라는 게 강경으로만 갈 수 없다. 용서, 화해, 상생이라는 것도 정치의 중요한 미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김병준 총리 내정자에 대한 인정이 파국을 막기 위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했다. 또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후 박정희 쿠테타가 일어난 것처럼, 극한 상황에서 안 좋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대통령의 진심 어린 사과, 책임 있는 조치가 있다면 대통령이 마지막 남은 임기를 책임감 있게 보내도록 해야 하지 않겠냐”고 했다.

조금 신중한 의견이지만,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를 국민이 수용하는지 여부를 지켜보고 야권도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국민이 정치권을 끌고 가고 있다. 여야의 문제가 아니다”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로 국민들의 불신, 의혹 등이 해소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 내정자와 관련해서도 “(야권이) 받고 안 받고의 문제는 아니다. 중요한 것은 국민여론”이라고 했다.

물론 반대 편 목소리도 있다. 김준석 동국대 교수는 “대국민담화가 아니라 기자회견을 했어야 한다”면서 “지금 수준으로는 부족하다”고 했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