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병준 총리내정자, 역사교과서 반대 입장…국정화 좌초되나?
[헤럴드경제=조범자 기자] 신임 총리 후보자로 전격 지명된 김병준<사진>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가 과거 한 언론사 칼럼을 통해 국정 역사교과서 반대 입장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박근혜 정부의 역점 과제 중 하나인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새 국면을 맞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내정자는 지난해 10월22일 동아일보에 기고한 ‘국정화, 지금이라도 회군하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교과서를 국정으로 획일화하여 강제하기보다는 현실이라는 또 다른 교과서를 잘 쓰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확실한 반대 입장을 보였다.

김 내정자는 “지금이 어떤 때인가? 글로벌화 정보화와 함께 역사는 더 높은 다양성을 향해 흐르고 있다. 그 누구도 막을 수 없는 도도한 흐름이다. 여기에 국정화로 획일성의 둑을 쌓는다? 아서라. 다양한 역사인식은 큰물이 되어 범람할 것이고, 그 둑은 그 큰 물줄기 아래 초라한 모습으로 있다 무너지고 말 것이다”고 했다.


김 내정자는 “정부와 여야 모두 돌아가라. 다양성을 존중하는 민주공화국의 공화정신으로 돌아가라. 여러 색깔의 다양한 교과서들이 공정하게 경쟁하게 되고, 정부와 여야 또한 현실이라는 교과서를 잘 쓰기 위해 서로 경쟁하게 되는 길이 무엇인지 고민하라”고 칼럼을 마쳤다.

김 내정자는 비슷한 시기의 이투데이의 ‘교과서 국정화의 칼’이란 제목의 칼럼에서는 “그런데 이런 상황에 교과서를 국정화한다? 그래서 역사인식과 해석을 하나로 만든다? 글쎄, 결국 어느 한쪽을 죽이겠다는 이야기인데 그게 가능할까? 대통령과 정부가 밀어붙이면 몇 해야 가겠지. 하지만 그 뒤는 어떻게 될까?”라고 부정적 입장을 드러냈다.

최근 최순실 파문으로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동력이 떨어진 가운데 국무총리 내정자마저 부정적 견해를 보인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정화 추진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김 내정자가 박근혜 대통령의 권한 상당 부분을 떠안을 ‘책임총리’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도 이같은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김 내정자는 또 누리과정에 대해서도 중앙 정부가 모두 예산을 책임져야 한다며 교육부와 정반대 입장을 피력한 사실도 알려졌다. 김 내정자가 역사교과서 국정화와 누리과정 등 박근혜정부의 핵심 정책에서 모두 정부와 반대 노선을 견지하면서 향후 정책 추진에 새로운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편 교육부는 오는 28일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 발표 등 국정화 진행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

anju101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