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차은택 주도 K컬처밸리에 ‘석연찮은 투자’…CJ도 최순실게이트 연루되나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박근혜 정권 ‘비선 실세’ 최순실(60ㆍ최서원으로 개명)씨의 핵심 측근인 차은택씨가 문화체육관광부의 ‘K-컬처밸리’ 사업을 주도했다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특히 K-컬처밸리 사업자인 CJ그룹과 이 사업에 지분을 투자한 싱가포르 투자사 ‘방사완브라더스’(이하 방사완)를 둘러싸고 각종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중점 추진과제 중 하나인 K-컬처밸리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2월부터 추진 중인 ‘문화창조융합벨트’의 핵심 사업이다. CJ E&M과 방사완이 합작한 CJ컨소시엄이 내년까지 1조4000억원을 들여 경기 고양시 대화동에 축구장 46개 규모의 테마마크와 공연장 등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CJ E&M은 K-컬처밸리 건설 자금 마련을 위해 지난해 12월 자회사 ‘케이밸리’를 세우고 올 6월 10일 33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이를 방사완이 전량 인수했다. 만기는 10년, 표면금리는 연 12.45%다. 매년 이자만 41억원이고 10년간 방사완이 챙겨가는 구조인데, 지금과 같은 초저금리 시대에 이해가 되지 않는 조건이라는 지적이다. 방사완은 이에 앞서 50억원을 투자해 자본금 500억원의 캐이밸리 지분 10%를 인수했다.

이와 관련 CJ그룹 관계자는 “케이밸리가 신생회사인 데다 영구채 성격의 계약이어서 일반 금리보다 2~3배 높은 금리를 책정하는 것으로 안다”며 “5년 안에 콜옵션 행사가 가능하고 사업성과가 없으면 10년 후에는 이자를 안 주고도 연장이 가능하다”고 해명했다. 또 10년 만기 조건으로 매년 41억원의 이자를 받는 게 아니라 10년 후에 한꺼번에 410억원을 지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사완 자체가 급조된 ‘페이퍼컴퍼니’가 아니냐는 의혹도 나온다. 신생 투자회사인 데다 전환사채 발행지역이 조세 회피지역인 케이먼제도라는 점 때문이다. 경기도와 CJ E&M은 지난해 2월 K-컬처밸리 조성을 위한 투자의향서를 체결했고 방사완은 같은 해 6월 설립됐다.

CJ측은 방사완을 둘러싼 의혹을 부인했다. 방사완은 말레이시아계 싱가포르인이 설립한 회사로 전체 자산규모는 570억원 규모이며, K-컬처밸리 투자 때 내부적으로 이사회 개최와 공증 절차를 거쳤고 경기도에 회계 감사 자료를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CJ그룹 관계자는 “방사완은 회사 설립 후 인도네시아 리조트를 비롯해 8건의 투자 거래가 진행돼 성장하고 있는 회사”라며 “당시 싱가포르 IB(투자은행)를 통해 방사완과 접촉했고, 경영권 간섭이 크지 않을 거라 판단해 투자회사로 선정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전환사채 발행지역이 케이먼제도인 것과 관련해 CJ는 “절세 차원에서 케이먼제도에서 전환사채를 발행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한편 차은택씨는 문체부 산하 문화창조융합본부가 주도한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에서 초대 본부장을 맡았다.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은 문화 콘텐츠 기획ㆍ제작ㆍ판매ㆍ재투자의 선순환 고리를 만들기 위해 상암동 문화창조융합센터, 청계천 문화창조벤처단지, 고양시 K-컬처밸리, 홍릉 문화창조아카데미 등 다양한 문화사업 거점을 국내 곳곳에 건립하는 프로젝트다. 2014년∼2019년 6000억원 이상의 예산이 들어가는 초대형 사업으로, 현 정권 들어 ‘문화계 황태자’로 불린 차은택씨가 주도해 왔다.

CJ는 2017년까지 1조4000억원을 들여 K-컬처밸리를 지을 예정이다.

일각에서는 이재현 회장이 횡령ㆍ배임 등 혐의로 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던 시기에 CJ그룹이 이 회장 구명을 위해 차은택씨가 주도한 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금을 쏟아 부은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CJ측은 “K-컬처밸리는 정부가 의지를 갖고 추진한 사업인 데다 당시 CJ만큼 문화 사업에 대한 역량과 경험이 많은 기업이 없었기 때문에 문제가 된 ‘비선 실세’가 굳이 개입할 여지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