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순실 의혹’ 시국선언 ②] 탄핵ㆍ늑장대처 사과ㆍ성명 철회…‘시국선언’에 총학은 시끌
-고려대 총학, 운동권 결탁 의혹ㆍ늑장 대처 등으로 탄핵

-서강대ㆍ연세대 총학 “시의성 놓쳤다” 지적에 사과내놔

-서울대, 시국선언문 철회 ‘해프닝’…대학가도 복잡미묘



[헤럴드경제=신동윤ㆍ유오상 기자] 박근혜 정부의 ‘비선 실세’로 알려진 최순실(60ㆍ여ㆍ최서연으로 개명) 씨의 국정 농단을 비판하는 시국선언문이 전국 주요 대학에서 릴레이로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몇몇 총학생회가 몸살을 앓고 있다.

고려대 중앙운영위원회는 총학생회에 대한 학생들의 탄핵 발의안이 가결, 직무정지를 결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로써 당초 안건으로 상정됐던 고려대 시국선언은 총학생회를 제외하고 다시 초안을 작성키로 했다. 고려대 시국선언 발표 시점 역시 일러도 다음달 1일 이후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학교 본관 모습.    [사진=헤럴드경제DB]

탄핵 발의안에는 총학생회가 탄핵을 당한 이유로 ▷학생들의 이름으로 시국선언을 하면서 각종 운동권 단체를 끌어들인 점 ▷타 대학이 잇따라 시국선언을 함에도 늑장 대처 ▷이전 학교 행사에서 동아리 이름을 무단으로 사용한 점 등이 포함됐다. 직무정지 상태에 놓인 총학생회에 대한 최종 탄핵 여부는 오는 31일 열리는 전체학생대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서강대와 연세대 역시 시국선언에 대한 ‘늑장 대처’로 학내 구성원들의 비판을 받았다.

박 대통령의 모교인 서강대 총학생회는 28일 오전으로 정해진 시국선언문 발표 일정을 지난 27일 공지하면서 “총학생회 차원의 공식 입장 발표인 만큼 사안이 중요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려는 과정에서 결정이 늦어져 오해를 부른 것”이라며 “중요한 사안과 시기인 만큼 발빠른 대처를 하지 못한 것에 사과드린다”며 재학생 대상으로 사과문을 게재했다.
서강대학교 전경.    [사진=헤럴드경제DB]

지난 25일의 박 대통령의 사과 이후 하루만에 많은 대학 총학생회는 시국선언에 동참하거나 논의에 즉각 착수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여왔다. 하지만 서강대 총학생회는 26일 오후가 돼서야 시국선언 발표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나서는 등 느린 대응으로 서강대 구성원들의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26일에는 일반 재학생들의 시국선언이 있자 총학생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는 더 커졌다.

연세대 총학생회 역시 마찬가지다. 연세대 총학생회가 공식 절차를 밟아 시국선언을 준비하는 동안 일부 단과대학 및 학생모임 소속 학생들이 먼저 시국선언 발표를 위한 기자회견을 실시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연세대생 최모(22ㆍ여) 씨는 “총학생회 차원의 움직임이 늦어지는 동안 특정 정치 성향을 띠는 단체가 먼저 시국선언을 해버려 외부엔 마치 연세대 학생 전체의 의견을 대표하는 것처럼 오해될 수 있는 소지가 발생했다”고 아쉬워했다.

박혜수 연세대 총학생회장은 타 대학의 성명이 줄줄이 발표되는 가운데 시의성을 놓친점에 대해 사과했다. 박 회장은 “중앙운영위원회를 신속히 개회하지 못한 것은 의장인 저의 책임이며 잘못”이라며 “총학생회가 사회적 사안을 중앙운영위원회를 비롯한 어떠한 의견수렴 절차도 거치지 않고 독단으로 입장을 밝힌다면 (연세대 학생 전체를) 주체로서 담아내지 못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일부 대학에서는 이미 공개됐던 시국선언문이 철회되거나 총학생회 주체의 시국선언 일정이 돌연 취소ㆍ연기되는 해프닝이 발생하기도 했다. 
서울대학교 정문 모습.    [사진=헤럴드경제DB]

서울대 총학생회는 ‘시국의 엄중함에 비해 글 수준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이미 공개된 시국선언문을 철회, 수정ㆍ보완 후 발표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27일 오후 2시로 예정됐던 시국선언 관련 기자회견은 하루 연기되기도 했다. 이번 일에 대해 서울대 총학생회는 “부족한 시국선언문을 발표한 것에 대해 학우분들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