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2020년까지 267억 투입…‘생활문화시대’ 연다
- ‘생활문화도시, 서울’ 발표…2020년 지원센터 90곳 조성

- 서울문화재단 내 전담조직 ‘생활문화지원단’ 내년 신설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서울시가 26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내 곳곳에 생활문화지원센터 90곳 순차적으로 개방한다. 또 내년 서울시 생활문화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생활문화지원단을 신설한다.

서울시는 2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음 ‘생활문화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생활체육처럼 문화활동도 일상이 되는 시대를 열겠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연내 ‘생활문화진흥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는 등 법적ㆍ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내년부터 3대 영역 9개 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2020년까지 총 267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생활문화인프라 조성도.

3대 영역은 ▷생활문화 인프라 확충(PLACE) ▷문화주체로의 성장 지원(PEOPLE) ▷문화자원 연결 플랫폼 구축(PLATFORM)이다.

핵심은 2020년까지 서울 전역에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생활문화지원센터’라는 이름의 생활문화 인프라 90개소다. 생활문화지원센터는 기존 시설에 생활예술 기능을 보강하거나 그동안 일반시민에게는 닫혀있던 시설을 개방하는 방식으로 조성한다. 광역적 개념의 권역별 생활문화지원센터 15개소와 지역밀착형 생활권별 생활문화지원센터 자치구별 3개소씩 75개소로 각각 추진된다.

종로 체부동교회는 오케스트라, 예술청(구 대학로 서울연극센터)은 연극, 도봉구 대전차방호시설 문화창작공간은 공예 등 각 센터의 장르를 특화할 계획으로, 관심 있는 동아리나 개인이 시간ㆍ공간ㆍ경제적 제약을 받지 않고 예술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고가의 악기나 장비도 대여할 수 있다.

전담ㆍ특화조직이자 싱크탱크인 생활문화지원단은 2017년 서울문화재단 내에 신설된다. 기존의 인적 인프라, 생활문화 정보, 콘텐츠 등을 총 망라해 통합관리하고 90개 센터와 유기적 지원망을 구축해 적재적소에 연계해주는 역할을 총괄하게 된다.

창조적 잠재력을 예술적 역량으로 끌어올리기 원하는 동아리와 개인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문화예술 동아리에 대해서는 단순 모임을 넘어 지속적인 창작활동이 가능하도록 작품 설계ㆍ기획, 멘토링, 연습ㆍ발표 공간 연계 등을 1년간 집중 지원한다. 개인에겐 다양한 예술교육 콘텐츠를 매칭ㆍ상담한다. 서울시는 ‘문화예술 매개자’라는 신규 일자리를 신설해 연 400명씩 육성, 이런 활동을 집중 지원하고 일자리 창출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가 지난 6월 발표한 문화 분야 중장기 계획인 ‘비전 2030, 문화시민도시 서울’ 가운데 생활문화 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실행계획이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 생활예술 동아리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지난 1년간 생활예술 동아리 참여자, 현장 활동가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마련했다.

고홍석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이번 기본계획은 시민이 문화 소비자이자 창조자로 나아가는 첫 걸음을 응원하는 사업이자 서울시민이라면 누구나 생활예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라며 “예술은 더 이상 특정 소수를 위한 전유물이 아닌 시민의 일상인 만큼 내 집, 직장과 가까운 곳에서 비용부담 없이 예술활동을 취미로 즐기고 재능을 발견하며, 나아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