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임금협상 극적 타결한 현대차…500만대 수성이 최대 과제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 현대자동차 노조가 찬반투표에서 기본급 7만2000원 인상 등 올해 임금협상 2차 잠정합의안을 통과시키면서 현대차는 5개월간 이어 온 임금협상을 매듭지었다.

24차례에 이르는 파업과 12차례 특근거부로 14만대 이상의 생산차질이 생기고 손실액만 3조원 이상이 발생할 정도로 내상을 입은 현대차는 이제 올해 판매 목표인 501만대 달성을 최대 과제로 남겨두게 됐다.

현대차 노조는 14일 전체 조합원 5만179명 대상으로 찬반투표를 한 결과, 투표자 4만5920명(투표율 91.51%) 가운데 2만9071명(63.31%) 찬성으로 잠정합의안을 가결했다.

노사는 앞서 지난 12일 27차 임금협상에서 기본급 7만2000원 인상(기존 개인연금1만원 기본급 전환 포함), 성과급 및 격려금 350% + 330만원, 전통시장 상품권 50만원, 주식 10주 지급, 조합원 17명 손해배상가압류 철회 등에 잠정 합의했다.

1차 잠정합의안 대비 임금 부문에서 기본급 4000원과 전통시장 상품권 30만원 등을 추가 지급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올해 임금협상은 작년 경영실적과 올해 경영환경 등을 감안한 합리적 수준에서 임금인상이 이뤄졌고 과거 불끄기식으로 타결한 그릇된 교섭 관행을 탈피하는 등 교섭 패러다임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

누적된 파업으로 생산차질 규모가 14만2000여대에 이르고 올 상반기 영업이익에 맞먹는 3조1000억여원 손실을 입으면서 현대차는 당장 판매량을 증대시켜야 하는 상황이 됐다.

현대차는 지난달까지 국내외에서 347만9326대를 판매했다. 올해 판매 목표인 501만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3개월 동안 154만대를 팔아야 한다. 전년 동기 353만7573대를 판매한 것과 비교하면 1.6% 판매 실적이 줄었다.

현재 내수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경쟁 모델이 치고 올라오며 현대차 판매량을 깎아 내리고 있어 남은 4분기 판매량을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 유럽에서 선전한다고 해도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현지 업체들의 저가공세가 거세 판매량을 올리기 여의치 않은 사정이고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시장 침체가 계속되고 있어 해외 판매도 전망이 밝지 않다.

이런 가운데 현대차는 오는 27일께 올해 3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HMC투자증권은 지난 11일 현대차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5.3% 줄어든 1조1232억원에 불과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