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安 복심’이었던 이태규, 당내 권력 견제 시도 무산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한 때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의 복심으로 불린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이 안철수 전 상임공동대표의 직계로 불리는 사무총장을 견제하기 위해 새로운 직제(기획조정실장)를 설치하길 시도했으나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 이 의원은 총선홍보비 리베이트 파동의 원인을 ‘사무총장에 집중된 현 시스템’으로 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서 효율성을 강조하는 ‘안철수계’와 권력독점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비(非)안철수계’의 싸움에서 비안철수계가 밀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의원은 안 전 대표의 복심으로 불렸지만 총선홍보비 파동을 겪으면서 안 전대표와 사이가 멀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7일 복수의 국민의당 핵심관계자의 말을 종합하면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는 사무총장직을 견제하기 위해 당헌당규제개정위원회가 만들어 올린 ‘사무총장에 맞먹는 권한을 가진 기획조정실 설치’를 의결하지 않았다. 위원회에서 올린안은 기획조정실에서 예산을 짜고, 사무총장은 집행 권한만 가지는 안이었다.

이태규 의원 등 일부는 박선숙 전 사무총장, 왕주현 사무부총장(구속), 김수민 의원 등으로 촉발된 총선리베이트 파동이 사무총장에 권력이 집중된 것을 원인으로 봤다. 현재는 김영환 전 의원이 사무총장을 맡고 있으며, 김 의원은 안 전 대표의 직계로 불린다.

당내 일부에서는 ‘기획조정실’의 설치 자체가 당 분열의 씨앗이 될 것이라는 일부 의견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당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사무총장을 견제하기 위한 논리지만, 당내에서는 예산결산위원회, 당무감사위원회, 최고위 등 충분한 견제장치가 있다”며 “의원총회나 비대위에서 큰 이견이 없었다”고 했다.

특히 이날 비대위의 결정으로 향후 대선에서 이태규 의원의 전략가로서의 역할은 상당히 좁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coo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