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감] “루나워치, 전자파 흡수율 심각”…SKT “일괄 비교 부적절”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스마트워치ㆍ키즈폰 등의 웨어러블 기기가 전자파등급제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중저가 스마트워치 ‘루나워치’의 전자파 흡수율이 타사 제품 대비 7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루나워치는 가장 낮은 전자파 흡수율을 기록한 닉슨워치(0.018) 대비 74배나 높은 1.34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의 키즈폰인 U-안심 알리미(프로기)는 1.32, T키즈폰 준2 역시 1.33에 달했다. 


이들 제품 모두 전자파흡수율 안전치 1.6에 겨우 턱걸이했다. 애플워치의 전파흡수율은 0.097, 갤럭시기어 S2는 0.092 수준이었다.

웨어러블 기기 가입자는 올해 7월 기준으로 67만 명을 돌파했으며, 향후 수요가 점점 더 늘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래부의 전자파등급제가 워치폰, 키즈폰 등에도 적용돼야 하지만, 현재는 등급제 대상에서 제외된 상태다. 현재 전자파 흡수율은 단말을 머리에 대는 방식으로 측정하는데, 웨어러블 기기의 경우 머리에 대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예외라는 게 미래부의 설명이다.

따라서 1등급, 2등급 등 알아보기 쉬운 등급이 아닌, 1.5와 같은 낯선 수치로 일반 소비자에게 전자파흡수율에 대한 안내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유승희 의원은 “미래부는 전자파흡수율 값이 1.6 이하일 경우 안전하다고 하지만, 전자파유해성에 대한 논란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좀 더 엄격한 기준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며 “웨어러블 기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이들을 전자파등급제 대상에 포함시키고, 전자파흡수율 기준을 점검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관계자는 “유 의원실 측에서 루나워치와 비교한 닉슨워치를 비롯, 전자파 흡수율이 낮은 것으로 꼽은 제품 대다수가 블루투스 제품“이라며 “주파수 이용하는 스마트워치와 전자파 흡수율을 일괄 비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