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홍명보, 박사논문서 브라질월드컵 반성…“선수들에 신념 못 불어넣어”
“특정 선수 배제ㆍ한 선수에 이중 잣대 들이대는 오류 범해”

“중장기 철저한 계획속 감독에 시간주고 지켜봐야“ 충언도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한국 축구의 영웅’이었으나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좌절을 맛보며 추락한 홍명보<사진> 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현 중국 슈퍼리그 항저우 뤼청(그린타운)FC 감독)이 박사 논문에서 실패 원인을 겸허하게 분석했다.

4일 고려대 등에 따르면 홍 감독은 논문을 통해 “선수들에게 절대 절명의 가치와 신념을 보다 강하게 주입하고, 이를 토대로 끊임없는 영감을 불러일으켜야만 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논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로 지난 8월 고려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자문화기술지’는 연구자가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과학자라는 틀에서 벗어나 자신의 성찰 등을 담아 쓰는 논문으로, 최근 인류학, 교육학 등에서 많이 쓰이는 연구방법이다.


브라질 월드컵 본선을 1년 남짓 남겨둔 2013년 6월 홍 감독은 A대표팀 지휘봉을 잡았다. 대한축구협회는 최종예선을 앞두고 조광래 감독을 경질했고 최강희 후임 감독은 최종예선만 치른 뒤 본선행을 거절했다.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으나 2012 런던올림픽에서 동메달 신화를 쓴 홍 감독을 향한 팬들의 기대치는 매우 높았다.

짧은 기간에 성적을 내야 했던 홍 감독은 자신이 잘 아는 선수들을 중용했다. 부임 직후 치른 동아시안컵 대회에서 많은 선수를 테스트했으나 결국 자신이 조련한2009년 U-20(20세 이하) 월드컵, 런던 올림픽 대표 출신들 위주로 팀을 꾸렸다.

특히 소속팀에서 벤치에 앉아있던 박주영의 선발은 ‘의리 축구’라는 비판을 크게 받았다. 홍 감독은 자신이 공표한 ‘소속팀에서의 활약에 따라 대표팀에 선발할지를 결정하겠다’는 원칙을 스스로 저버렸다.

홍 감독은 논문에서 “당시에 나는 상당히 합리적이고 옳은 판단을 하고 있다고 확신했다”며 “(준비 기간이 촉박해) 과거 나와 호흡을 맞췄고, 나를 가장 잘 이해할 수있는 고참급 선수가 필요했다”고 술회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특정 선수를 배제하거나 한 선수에게만 이중적인 잣대를 들이대 팀 운영과 관련한 원칙을 스스로 위반하는 오류를 범하게 됐다”며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으나 좀 더 나은 방향으로 판단하지 못한 것은 지금도 후회가 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선수들에게 도전의식을 충분히 불러일으키지 못한 점도 실패의 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홍 감독은 “런던올림픽에서는 군 면제라는 그 무엇보다도 시급하고 달콤한 보상의 가능성이 있었다”며 “내가 선수들에게 강조한 ‘생즉사, 사즉생’이라는 필승 전략이 절대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월드컵에서는 선수들을 하나로 묶으면서 절대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그 무언가를 찾아내는 데 실패한 것이 성공을 담보하지 못한 주된 이유 중 하나”라면서 “나는 선수들에게 절대 절명의 가치와 신념을 보다 강하게 주입하고, 이를 토대로 끊임없는 영감을 불러일으켰어야만 했다”고 덧붙옇다.

논문에는 한국 축구를 위한 충언도 담겼다. 홍 감독은 한국 축구가 당장의 경기 결과에 집착할 것이 아니라 지도자가 성공과 실패의 과정을 통해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묵묵히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감독은 “사람과 더불어, 사람을 통해, 목표 달성을 완수해야 하는 특화된 조직인 국가대표팀이 단기간에 수장이 원하는 인적 구성으로 변모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대하는 성과에 즉각 도달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은 모순”이라면서 “중ㆍ장기적인 철저한 계획 속에 감독이 충분히 기량을 발휘하고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켜봐 주는 미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