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조양호+최은영 500억 사재출연, 중국, 싱가포르 등 하역에 자금 투입
-전현직 경영진 사재 500억원 투입, 물류대란 막기엔 역부족

-거점항구에서 무리한 비용 청구, 법원추산 하역비 ‘1700억원+α’ 될 듯,



[헤럴드경제=조민선ㆍ고도예 기자]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13일자로 한진해운 물류대란 해소를 위해 사재 400억원을 투입한다. 한진해운의 전 회장인 최은영 유수홀딩스 회장도 전날 100억원의 사재를 내놨다. 이에 한진 오너가(家)의 개인재산 500억원이 한진해운 법정관리로 인한 물류대란의 급한 불 끄기에 활용된다.
 
[사진=한진해운 컨테이너선]

13일 한진그룹에 따르면 조 회장은 예정대로 사재 400억원을 출연할 예정이다. 조 회장은 금융기관에 ㈜한진과 한진칼 주식을 담보로 대출 절차를 밟아 이날 자금을 확보한다. 이 자금은 서울중앙지법 파산부에 곧바로 입금되며, 법원 측은 한진해운 물류대란 해소를 위한 전세계 항만의 하역비로 긴급 투입한다.

최 회장의 100억원은 유수홀딩스 주식을 담보로 금융권에서 차입하는 방식으로, 2~3일내로 입금될 예정이다. 유수홀딩스 측은 “조건 없이 신속히 지원한다는 원칙 아래 한진해운과 협의해 적절한 방법으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사진=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이미 미국 항만에서 하역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 투입된 자금은 중국, 유럽이나 동남아 등 해역에서 떠돌고 있는 컨테이너선의 하역작업에 투입될 전망이다.

법원 측은 “400억원의 돈을 어떻게 쓸건지 회사 측에서 계획을 세워 법원에 계획서를 제출하는데 아직 계획서가 법원에 전달이 안됐다“면서 ”미국에는 이미 200억원 하역비를 투입했으니 세계 기타 여러 국가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진해운은 미국 다음으로 어떤 국가의 항만에 자금을 먼저 투입할지 논의중이다. 한진해운 측은 “자금이 동시다발적으로 전세계 항만에 투입돼야 후폭풍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그게 안되는 상황”이라며 “추가 자금이 마련되는대로 억류 선박이 많은 중국, 싱가포르 등지에서 하역 작업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한진해운이 보유한 컨테이너선 97척중 하역을 완료한 선박은 20척이다. 그중 현재 작업을 진행중인 미국 롱비치(5척), 시애틀(3척), 뉴욕(3척) 항만에 하역을 마치고 난 뒤에도 세계 각국에 66척의 배가 남는다. 싱가포르는 21척, 독일 함부르크 3척, 스페인 알헤시라스 항만에 5척이 대기중이다. 부산, 광양에도 36척의 배가 짐을 실고 표류중이다.

문제는 물류대란을 빌미로 하역비를 무리하게 요구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정부가 거점항구로 선정한 독일의 함부르크 터미널은 컨테이너박스당 3000달러(335만원) 비용 지불을 요구했다. 독일은 한국 법원의 스테이오더조차 인정하지 않은 국가로, 부산항이 컨테이너당 60만원을 요구하는 것과 비교하면 5배가 넘는 비용을 요구한 셈이다. 싱가포르항에서도 밀린 비용을 한꺼번에 요구하며 하역비를 2배 이상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사진= 최은영 유수홀딩스 회장. (전 한진해운 회장)]

앞서 한진해운의 법정관리를 주도하는 법원은 컨테이너를 모두 하역하는데 드는 비용을 약 1700억원으로 추산했다. 한진해운이 이미 투입한 200억원과 전ㆍ현직 경영진의 사재 500억원을 더해도 여전히 1000억원이 부족한 셈이다. 하지만 독일, 싱가포르 등 세계 각국 항구에서 추가 비용을 요구하면 필요한 하역비가 눈덩이처럼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그외 컨테이너 하역 이후 육상운송 비용이나 빈 컨테이너 처리, 미납 용선료 등을 포함해 물류대란 사태를 완전히 풀어내려면 최소 6000억원이 필요하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