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권영걸 한샘 사장 ‘신문명디자인’ 출간
동서가치 융합·디지털 선용 등 미래사회 4대 과제 제시



“파국을 향해 질주하는 현재의 문명을 상생의 문명으로 전환시키려면 새로운 이념과 가치관에 기초한 ‘신문명디자인’이 요구된다.”

한샘의 디자인최고책임자(CDO) 권영걸 사장이 ‘신문명디자인’(공간서가)을 12일 출간했다. 서울대 미대 교수, 서울대미술관장, 서울시 디자인서울총괄본부장(부시장)을 지낸 권 사장은 ‘관-산-학’을 모두 경험한 디자인 전문가다.

‘신문명디자인’이라는 용어는 2014년 개설한 ‘신문명디자인대학’을 통해, 2015년 개최된 ‘신문명디자인공모전’의 심사기준과 심사평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권 사장이 강조해온 주제어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이 주제어를 보다 종합적으로, 깊이 있게 설명하는 한편 신문명의 새 시대를 열어갈 디자이너들의 행동강령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신문명디자인 표지와 저자 한샘 디자인최고책임자인 권영걸 사장.

또 인류 미래사회의 4대 과제로, ‘동서양 가치를 융합한 새로운 문명의 창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디자인 사고의 전환’, ‘디지털 기술의 선용과 생활의 디자인혁명,’ ‘중국의 격변과 동아시아 양식의 창조’ 등을 꼽았다.

권 사장은 책에서 “동양과 서양이 지금까지는 착취와 모방의 관계였으나 그 관계를 상생과 창조로 선회하지 않는다면 인류에게 더 나은 미래는 없다. 양 문명이 각자의 편협성을 극복하고 양자 간 우성인자를 찾아내 높은 차원의 결합이 미래 디자인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디자인이 문명의 기반수단이라면 그 창조적 진화는 ‘동과 서를 넘어서는 디자인(Design beyond East and West)‘을 통해 추진될 수 있다고도 했다.

또 ‘가치의 디자인’, ‘본질의 디자인’, ‘지속가능 디자인’, ‘유기 디자인(Organic design)’으로 전환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권 사장은 “현재의 낡은 문명을 대체할 새 문명의 길을 찾고, 문명의 형식을 결정하는 디자인의 새 원칙을 정립해야 한다. 신문명디자인은 오늘의 일그러진 사회질서를 자연의 질서에 합치시키는 ‘중재(仲裁)의 디자인’”이라고 주장했다.

조문술 기자/freihei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