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日가전사·車부품사 물량넘쳐 냉연·도금강판 쉴새없이 절단
北베트남, 포스코 가공센터 가다

[하이즈엉(베트남)=조민선 기자] 지난 1일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동남쪽으로 약 50㎞ 달려가 도착한 하이즈엉성 푹디엔 산업단지. 이 곳에는 포스코 북베트남 가공센터인 포스코 VNPC (Vietnam Ha Noi Processing Center)가 자리잡고 있다. 규모 약 6600㎡(약2000평)의 공장 내부는 기계가 가동되면서 섭씨 40도를 넘기는 후끈한 열기로 가득했다. 근로자 100여명이 철강 가공에 여념이 없었다. 이 곳은 슬리터(slitterㆍ세로방향 절단기) 기기 2기, 시어(shearㆍ가로방향 절단기) 1기, 미니 쉬어 1기 등 4기의 설비를 갖췄다. 절단기는 강판 크기를 오차범위 ±0.2㎜까지 정밀하게 절단해 제품을 공급한다.

▶7년만에 판매량 50배 ‘껑충’=포스코가 2009년 7월 인수한 이 공장은 포스코베트남과 본사에서 만든 냉연, 열연, 도금, 전기강판 등을 절단하고 가공해 한국과 일본 가전사 및 자동차 부품사 등에 판매하고 있다. 적자로 허덕이던 공장을 인수해 적극적 영업을 벌인 결과 7년만에 판매량이 50배가량 뛰었다.

김영효 포스코 VNPC 법인장은 “포스코가 인수하기 전 판매량은 2008년 연간 5000톤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엔 24만 4000톤을 팔았다”고 밝혔다. 지난해 판 24만톤중 가전용은 30%,나머지 70%는 건자재로 공급했다. 특히 삼성, LG 등 국내 주요 가전업체들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거기에 품질관리가 까다롭기로 유명한 캐논, 브라더 등 일본계 사무자동화기기 업체들로 판매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올 하반기는 가전 물량이 작년 대비 10%가량 늘어난 40%대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 VNPC 내부에서 직원들이 강판 가공 작업을 진행중이다.

▶北베트남 삼성, LG 글로벌 전략지로 부상=공장이 자리잡은 북베트남은 베트남의 성장 잠재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곳이다. 한국, 일본 등 외국계 기업들이 공장을 설립하는 등 제조업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LG전자는 포스코 VNPC의 최대 고객으로 자리매김했다. LG전자가 하노이 동부 하이퐁 지역에 15억달러(1조6500억원)을 투자해 40만㎡(12만평) 규모의 글로벌 생산기지를 구축하면서 세탁기, 청소기 등 제품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공장은 가전제품은 물론 자동차의 카오디오나 내비게이션 등 통합 전자기기(IVI)를 생산해 지엠, 혼다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할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도 하노이 북쪽에 공장을 준공중이다. 이같은 수요 증가에 따라, 포스코 VNPC도 이에 발맞춰 신규 설비 도입 등 공장을 증축하고 하노이와 하이퐁 지역에 6000톤 규모의 별도 창고를 운영중이다. 


▶철강부터 건설까지, 포스트 차이나 시장 선점=베트남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 7%에 달해 ‘제2의 중국(포스트 차이나)’로 급부상중이다. 7월까지 대(對)베트남 수출 규모는 180억달러로 지난해 동기대비 10%넘게 증가했다. 지난해 한국-베트남 FTA 협정이 발표되면서 교역 규모는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분위기를 타고 포스코는 그룹 차원에서 베트남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12개 법인과 2개 사무소를 운영중이며 1992년부터 현재까지 총 20억달러를 투자했다. 지난해 5월에는 포스코베트남홀딩스라는 대표법인을 설립해 철강, 건설(포스코건설), 무역(포스코대우), 에너지(포스코에너지) 등 분야별 전략을 다지고 있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