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고개숙인 대법원장 “청렴성에 대한 신뢰 없으면 사법부 미래도 없다”
- 윤관ㆍ이용훈 前 원장 이어 역대 세번째

[헤럴드경제=고도예 기자] “청렴성에 관한 신뢰 없이는 사법부의 미래도, 법관의 명예도 없습니다.”

양승태 대법원장이 6일 재판 업무와 관련 억대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최근 구속된 현직 부장판사 사건과 관련 국민들에게 고개를 숙였다.

양 대법원장은 이날 오전 대법원 4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긴급 전국 법원장 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사법부를 대표해 이번 일로 인해 국민 여러분께 끼친 심려에 대해 깊이 사과드리며 앞으로 밝혀질 내용에 따라 엄정한 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드린다”며 이 같이 밝혔다.

대법원장이 법관 비리로 인해 대국민 사과를 한 것은 이번이 역대 세 번째다. 윤관 전 원장은 지난 1995년 2월 입찰보증금 횡령 등이 불거진 ‘인천지법 집달관 비리사건’으로 사과문을 발표했고, 2006년 8월에는 이용훈 당시 원장이 조관행 전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법조 브로커 김홍수씨로부터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되자 국민들에게 사과했다.

특히 양 대법원장은 “법관에게 청렴성은 다른 기관에 있어서의 청렴성과는 의미가 다르다. 그것은 법관의 존재 자체와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이라며 “청렴성을 의심받는 법관이 양심을 가질 수 없고, 양심이 없는 법관이 공정한 재판을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법관의 잘못된 처신이 법원 전체를 위태롭게 하고 모든 법관의 긍지와 자존심을 손상시키고 있다”며 “가장 크게 실망하고 마음에 상처를 받은 사람은 묵묵히 사법부를 향해 변함없는 애정과 지지를 보내면서 법관이 우리 사회의 소금이 되기를 절실히 기대하고 믿어 온 국민들”이라고 지적했다.

일선 법관들을 향해서도 “한 법관의 일탈행위로 인하여 법원이 신뢰를 잃게 되면 그 영향으로 다른 법관의 명예도 저절로 실추되고 만다”며 “상황이 어떠하더라도 자기만은 신뢰와 존중을 받으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큰 착각이다. 이는 모든 법관들이 직무윤리의 측면에서 상호 무한한 연대책임을 지고 있음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양 대법원장은 “이번 일이 상식을 벗어난 극히 일부 법관의 일탈행위에 불과한 것이라고 치부해서도 안 되고, 우리가 받은 충격과 상처만을 한탄하고 벗어나려 해서도 안 된다”며 “부끄럽고 송구스러운 마음일지언정 이 일이 법관 사회 안에서 일어났다는 것 자체로 먼저 국민들께 머리 숙여 사과하고 깊은 자성과 절도 있는 자세로 법관의 도덕성에 대한 믿음을 줄 수 있도록 있는 힘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법원장 회의에서는 법관에 대한 감사 조직의 권한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일선 법관들의 외부인사와의 만남이나 법정 밖 사적 언행 등에 대한 윤리 기준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 깊은 토론이 이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yea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