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기는 IFA] 김현석 삼성전자 사장 “퀀텀닷 내년에도 상당한 진화”
[헤럴드경제 베를린(독일)=홍석희 기자]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이 “내년에도 퀀텀닷(양자점) TV에 상당히 많은 진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초 CES에서 ‘퀀텀닷은 진화중’이라고 표현 했던 것에 비해 강하게 자신감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사장은 3일(현지시간) 국제가전전시회(IFA) 2016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내년에 폼팩터는 크게 변화가 없을 것”라며 “그렇다고 갑자기 네모가 세모가 되고 이러지 않겠지만 디자인은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독일 업체들이 (퀀텀닷 진영에 합류하는 것은) 좀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IFA에서는 그룬디히 등 일부 독일 TV 제조사들이 퀀텀닷 기술을 채용했다.
[사진설명=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은 지난 3일(현지시간) 국제 가전전시회에서 한국 기자들과 만나 퀀텀닷의 미래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김 사장은 “그런데 독일 업체들은 (유해 물질인) 카드뮴이 들어간 것이 대부분”이라며 “환경 단체가 대부분 반대해서 접점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퀀텀닷이란 용어가 어렵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쉬운 용어로 바꾸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 퀀텀닷에 대해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년에도 콘텐츠 (확보) 쪽에 많이 신경 쓸 것”이라고 했다.

차세대 TV 기술로 주목받은 3차원(3D) TV와 관련해선 “글로벌 기준으로 TV 보는 시간이 하루 6시간인데 안경이 불편해서 계속 쓰고 보기 어렵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3D TV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것이다.

그는 “전세계 TV 22억대은 매년 3~4% 성장하고 있다. 국내 시장도 평균 가구당 2대로 늘고 있다”면서 “전세계 스마트폰과 숫자와 똑같다. 기존 TV를 바꿀 수 있도록 모멘텀 주는게 중요하지 않나”라고 말했다.

그는 “사물인터넷(IoT)과 홈 오토메이션을 하면 스크린이 점점 더 많아질 것“이라며 IoT 확산이 모니터 수요 확대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