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0초 승부사]계속되는 건국절 논란, 도대체 뭐가 문제일까?

[HOOC=손수용 기자, 한상혁ㆍ박규리ㆍ홍윤정 인턴]지난 15일 제 71주년 광복절을 맞아 박근혜 대통령의 경축사가 있었습니다. 이 때 박 대통령이 언급한 ‘건국 68주년’이란 말이 또다시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의 시작을 1948년 8월 15일로 봐야한다는 측과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 4월 13일이 우리 정부의 시작이라는 측의 주장이 맞서고 있는 것입니다. 논란을 커지며 보수-진보 진영간 대립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치권에서도 여-야가 이 문제를 놓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해매다 되풀이 되는 건국절 논란, 도대체 뭐가 문제인 것일까요? 건국절 논란에 대해 100초안에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제71주년 광복절이자 건국 68주년을 맞이하는 역사적인 날입니다.”

지난 광복절에 있었던 대통령 축사의 한 대목이야.

얼핏 보면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이 표현이 엄청난 논란을 일으켰어. ‘건국 68주년’이란 표현 때문이야.

이게 왜 문제가 됐냐구? 자 이제부터 설명해줄게.



대통령의 말대로 ‘건국 68주년’이라면 우리나라의 건국일은 1948년 8월 15일이 되는 거야. 우리나라의 정부가 공식적으로 수립된 날이 바로 건국일이라는거지. 이날을 건국일로 보는 사람들은 8월 15일이 ‘광복절’이 아니라 ‘건국절’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어.

이들은 1919년 상하이에서 수립된 ‘임시정부’를 대표성이 없는 정부라고 말해. 임시정부가 국가의 3요소, 영토 주권 국민 중에 어느 하나 갖추지 못했다는 거지. 그러니까 일제 치하에서 실질적인 통치권이 없었다는 거고. 그래서 그들은 정확한 건국일을 기념하자고 주장하고 있어.



그런데 이들의 주장대로 임시정부는 정말 지금 우리 정부와 전혀 상관이 없는걸까? 그렇지 않을걸?

1919년 4월 13일 상하이 임시정부 수립

우리나라 헌법 전문에는 “대한민국 정부는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 라고 명시돼 있어. 한 마디로 지금의 정부는 1919년 창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이어받고 있다는 거야.

그리고 1948년 8월 15일 우리나라 정부수립 기념사를 보면 ‘대한민국 30년 9월 1일’이라고 명시가 돼있어. 이는 우리나라의 건국을 1919년으로 보고 있다는 거지.

또한, 1948년 8월 15일을 만약 건국일로 본다면 이전의 역사는 우리나라의 역사가 아닐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해져.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심지어는 친일파들의 기록들도 모두. 나라가 세워지기 전이니 우리 역사로 보기 어려워지는 거지.

우리나라의 건국을 1919로 볼지 1948로 볼지에 대한 논란이 아직까지도 이어지고 있어. 근데 확실하고 분명한 것은 일제강점기 하에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이 있있고 그분들은 우리 대한민국의 감사하고 자랑스러워 해야 할 역사라는 사실이야.

덕분에 지금 우리가 대한민국 국민으로 살 수 있다는 거야. 



자, 건국절 논쟁에 대해서 이제 좀 이해가 가? 그럼 이제 네 생각은 어때?



feelgo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