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찬민의 용인경전철 경제학
[헤럴드경제=박정규(용인)기자]2010년 6월 완공된 용인경전철. 기흥역에서 에버랜드역까지 18.1㎞를 잇는 용인경전철은 민간 자본 투자 방식으로 1조32억원이나 투입됐다. 하지만 수요 예측이 잘못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지면서 소용돌이에 휘 말렸다. 용인시가 민간 운영사 측에 30년간 매년 수백억원의 적자를 보전해줘야 하는 극한적인 상황까지 몰렸다. 용인시는 협약 수정을 요구하며 소송도 냈으나 결국 참패였다. 


용인시는 2011년 말 용인경전철㈜과의 국제중재심판에서 패소해 건설비 5159억원을 물어줘야 했다. 이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2012년 5153억원(3년 거치, 5년 상환)의 지방채를 발행해야만 했다. 성남시의 모라토리엄(지불유예) 선언처럼 용인시도 큰 위기를 맞았다.

2014년 7월 정찬민 용인시장이 취임했다. 그는 긴축 재정을 선언했다. 공무원들도 동참했다. 5급 이상 공무원은 기본급 인상분을 자진 반납하고 업무추진비와 수당도 전년보다 절반만 받았다. 복지포인트 등 후생복지비가 최대 50% 깎였다. 모든 행정비품은 중고품으로 대체됐다. 읍·면·동에 지급하던 수천만원의 체육대회 경비도 전액 삭감했다. 시급하지 않은 사업은 모두 뒤로 미뤘다.

정 시장은 ‘묘수’를 냈다.

기업유치에 걸림돌이 됐던 각종 규제를 깨뜨리는데 ‘올인’했다. 정 시장이 규제를 깨뜨리자 기업들이 하나 둘씩 몰려왔다. 세 수입이 크게 늘었다.

2013년 4월26일 개통된 용인경전철 1일 평균인원은 당시 8713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6년 2만5717명으로 크게 늘었다. 용인경전철 이용 캠페인이 강도높게 펼쳐졌다. 정 시장은 하루가 멀다하고 경전철 역 입구에서 이용캠페인을 펼쳤다.


하루 최대이용 인원은 2013년 5월17일 1만8496명에서 2016년 5월20일 4만739명으로 급증했다. 운영사는 캐나다 봄바디어트랜스포테이숀코리아㈜에서 신분당선 운영사 네오트랜드㈜로 바꿨다. 운영사 교체로 7년간 346억원의 절감효과를 얻었다.

정 시장은 취임 2년만에 용인시 전체 8000억원의 부채를 500억원대로 낮추는데 성공했다. 내년이면 용인시는 ‘부채 제로’ 도시를 선언한다.

용인시는 부채 탕감을 위해 올인했던 행정이 정상궤도에 오르자 민생과 관련된 시설, 문화 체육과 관련된 시설 확충에 눈을 돌리고있다. 방만했던 용인시가 다시 태어났다. 정찬민 시장이 그 어려운 걸 해냈다.

fob14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