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미 북한 수중정보 공유키로…북 SLBM 도발에 대응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한국과 미국 군 당국이 북한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북측 수중환경 정보를 상호 공유하기로 했다.

평시 북한 잠수함을 추적하고, 유사시 이를 차단하거나 격침시키는 대잠수함 작전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28일 한미 군 당국에 따르면 한미는 지난 6월 열린 제2차 한미 대잠수함전협력위원회에서 한반도 작전 수역의 해양 및 수중환경 정보를 분석하고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의 수중 대잠작전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이다.

한미가 수중환경 정보를 분석해 공유할 작전 수역에는 우리 측 수역은 물론 북한 잠수함 기지가 있는 신포항 주변 등 동해와 서해가 모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작전에 필요한 해양환경에는 해저 지형, 수온과 수심, 조류 등 잠수함 소나(음파탐지기)가 발신한 음파의 굴절률 등이 달라지기 요인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수중은 조류가 워낙 거세 해저 지형이 빠른 속도로 변할 수 있고, 북한 잠수함이 새로운 해저 이동로로 기습 침투할 수 있어 한미가 정보 분석 및 공유를 강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해군 잠수함 부대 훈련 장면

현재 북측 동해 먼바다 수중정보는 주로 미국이 핵추진 잠수함을 동원해 은밀하게 수집한다고 한다.

서태평양과 동아시아를 관장하는 미 7함대는 괌 아프라 해군기지 등에 8∼12대의 핵추진 잠수함을 상시 배치하고 운용 중이다.

한미 해군은 매년 수시로 양측의 잠수함을 동원해 북한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앞으로 훈련은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한 북한의 잠수함을 탐지, 식별, 격침하는 연습에 더욱 집중하게 될 전망이다.

한미 대잠수함전협력위원회는 작년 북한의 SLBM 개발이 가시화되자 연합 대잠작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한 연례 회의체로, 이기식 해군작전사령관과 조지프 오코인 미 7함대 사령관이 양측 대표로 참석했다.

우리 군은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추진해 온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북한 잠수함 탐지체계 구축사업을 최근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우리 군은 서해 NLL 인근 해저로 침투하는 북함 잠수정 스크류 소리 등을 탐지해 대응에 나설 수 있게 됐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