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대차 임단협 극적 타결…하지만 14차례 파업이 남긴 상처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현대자동차의 임금협상이 지난 5월 노사 상견례 이후 116일만에 극적으로 타결됐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24일 밤 본교섭 20차례에 걸친 산통 끝에 잠정합의안을 이끌어냈다.

지난해 장장 6개월에 걸친 협상 끝에 임단협 교섭이 타결된 것과 비교하면 협상 기간은 줄었지만, 그로 인한 타격은 결코 가볍지 않다.

노동조합은 이번 임단협 협상 기간 중 총 14차례에 걸친 전면ㆍ부분 파업을 벌였다. 회사 측은 파업으로 발생한 손실 규모를 생산 차질 6만대, 금액으로는 1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생산 차질이 생긴만큼 연말까지 노사가 합심해 이를 만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지만, 하반기 경영 전략에 변수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노조의 파업은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 등 악재로 인한 실적 악화로 시름했던 회사에 또 하나의 커다란 짐을 안겼다.

지난달 현대차 내수 판매실적은 4만7879대로 전월대비 31.6% 감소했다. 임단협 협상 중이던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봐도 20%이상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한국GM, 르노삼성 등 경쟁사들이 신차효과를 누리며 실적 행진을 이어나간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현대차는 이를 만회하기 위해 하반기 i30, 그랜저 IG 등 신차를 앞세워 시장 반전을 노리고 있지만, 노조의 파업으로 인한 생산 차질로 목표로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파업을 지켜본 부정적인 여론도 부담이다. 지난 2014년 기준 현대차 직원의 평균 연봉은 9700만원에 달한다. 2004년 4900만원이던 것이 10년만에 2배 가량 뛴 것이다. 9062만원을 받는 독일 폴크스바겐이나 일본 도요타(8351만원) 보다도 높다. 귀족노조라는 꼬리표를 떼기 힘든 것이다. 이는 현대차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에게도 곱지않은 이미지를 심어줄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 노조의 파업은 시작부터 정치파업의 성격을 띄며 따가운 비난의 시선과 마주했다. 임협 결렬 선언, 파업찬반투표 등 수순이 지난달 22일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의 총파업 스케줄에 맞춘 듯한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여기에 23년만에 현대중공업과 연대파업을 실시하며 근로자 복지ㆍ처우 향상과는 다른 궤도의 투쟁양상을 보였다.

또 노조의 승진거부권, 해고자 복직 등 회사의 고유권한과 관련한 무리한 요구를 들고 나선 것도 협상 과정을 더욱 꼬이게 만든 요인으로 지적됐다. 이같은 요구안들은 노사 잠정합의안에서 모두 빠졌다. 노조가 협상 국면을 유리하게 끌고가기 위한 카드로 제시했다는 해석이 뒤따르는 까닭이다.

이번 현대차의 잠정합의안을 놓고 한 재계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는 이번 임단협을 통해 철저히 실리를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며 “교섭이 장기화되고 파업이 길어질 경우 받게 될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초반에 투쟁강도를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며 회사 측을 압박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잠정합의안을 적용하면 조합원들은 임금을 제외하고 성과급과 격려금만 따져 평균 1000만원 이상씩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주당 13만원이 넘는 주식 10주와 재래시장 상품권 20만원 등을 포함하면 받게 될 돈은 더 늘어난다.

다만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따라 14차례 부분 파업과 특근 거부로 인한 임금 손실을 감안하면 총액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