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청소년 사설캠프 10곳 중 8개는 미인증.. 참가 전 정부 인증여부 꼭 확인해야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병영체험, 국토순례 등 청소년 대상 사설캠프 10곳 중에 8개가 주무관청의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안전한 캠프참여를 위해 참가신청 전에 해당 캠프의 신고 및 인증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여가부가 지난 11일부터 19일까지 9일간 자치단체,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등 관련 기관과 합동으로 사설캠프 10곳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 활동 진흥법’을 위반한 8개 기관과 위반사항 15건을 적발했다.

이번에 적발된 8개 기관은 모두 주무관청의 인증을 받지 않았으며, 이 중 3개 기관은 지자체에 신고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업체는 공용 부지를 무단으로 점거해 무허가 시설물을 설치하고 캠프를 운영하기도 했다.


여가부는 신고도 안하고 사설캠프를 운영한 D사 등 3개 기관에 대해 관할 지자체에 통보하는 한편, 행정처분 및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정부 인증을 받지 않은 5개 기관에 대해서도 주무관청에 통보해 사전 인증 의무 준수, 예산 집행 현황 점검 등에 대한 지도ㆍ감독을 의뢰할 예정이다.

무허가 시설물을 설치한 C사에 대해서는 감독기관에 시설 철거를 요청할 예정이다.

여가부는 사설 캠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청소년활동안전센터에 상설 점검단을 구성, 사설캠프 운영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또 청소년과 학부모, 청소년 관계자가 참여하는 ‘청소년활동 안전 국민참여단’을 본격 가동하는 한편, 사설캠프의 부정 운영 상황 및 활동 참가 중 불편 사항을 신고할 수 있는 신고창구를 청소년활동정보서비스(www.youth.go.kr)에 운영할 계획이다.

앞서 여가부는 청소년 체험활동 안전을 강화하고자 숙박형 등 수련활동에 대해 관할 지자체에 신고하도록 하고 있다. 대규모 인원이 참여하거나 위험도가 높은 수련활동은 사전에 인증을 받아야 한다.

황진구 여가부 청소년정책관은 “청소년들이 믿고 참여할 수 있는 체험활동 환경 조성을 위해 꼼꼼한 점검과 평가를 할 것”이라며 “청소년과 부모님들도 체험활동 선택 시 공인된 기관의 신고ㆍ인증을 받았는지, 적절한 인력과 장비를 갖췄는지, 보험에 가입됐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