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학기부터 전국 중학교 ‘시험 없는’ 자유학기제 본격 시작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22일 대부분 중학교가 개학을 하면서 전국 중학교 1학년생 47만여 명이 시험 없는 자유학기제를 맞이하게 됐다.

이날 교육부 등에 따르면, 전국 3213개 중학교 중 96%인 3090여개 중학교가 이번 주부터 개학과 함께 자유학기제를 시작한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1학년 1학기에서 2학년 1학기까지의 기간 중 한 학기를 선택해 시험을 보는 대신 토론이나 실습 등 학생참여형 수업 및 다양한 진로체험 활동 등을 하도록 한 제도다.

당초 교육부가 올 초 이 제도를 전면 시행하기는 했지만, 1학기에 운영한 중학교는 56개교에 불과했다. 전체 중학교의 98%인 3157개교는 준비 기간을 거쳐 2학기부터 운영하기로 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2학기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것이다. 특히 충청북도에서는 모든 중학교가 이번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자유학기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자 전면 시행 이전에 체험처 점검과 교사 연수 등을 진행해 왔다. 특히 시험이 없어지는 부분에 대해 학부모들의 불안감이 상당한 점을 고려해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이영 차관이 전국을 돌며 20차례 토크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이와 함께 진로체험처를 8만개 이상 확보하고, 학생들이 양질의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시ㆍ도교육청 별로 전수 점검했다. 하반기부터는 정부가 체험처를 심사해 인증하는 제도도 시행할 예정이다.

상대적으로 진로체험 기회가 부족한 농ㆍ산ㆍ어촌 학생들을 위해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대학, 민간기업 등은 직접 학교를 찾아가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학생을 체험처로 옮겨주는 진로체험 버스를 운영하기로 했다. 또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자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기업에 산학협력 마일리지도 부여할 예정이다.

이밖에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학부모의 불안심리를 이용한 학원들을 단속하고자 7~8월 세 차례 현장 단속을 하는 등 학원 단속도 병행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와 같은 교육 현실에서 자유학기제가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다. 자유학기가 끝나면 다시 시험 부담이 큰 입시 위주의 교육을 받아야 해 자유학기제 효과가 1회성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탓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자유학기제 운영 이후에도 제도적으로 이후까지 연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등의 방안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