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립산림과학원, 백두대간 정맥 ‘녹색에어컨 기능’ 확인
-찬공기 생성 및 야간 도심확산 효과 있어
-찬공기 통로로 열대야 현상 완화 기능해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이 백두대간의 정맥이 인구밀집 지역으로 찬공기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통해 도심폭염 및 열대야 현상을 완화시켜주는 녹색 에어컨 기능을 한다고 밝혔다.

많은 인구가 분포하는 도시지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백두대간과 달리, 도심 인근에 위치하는 정맥의 숲은 폭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찬공기를 생성한다. 특히 밤 10시부터 생성된 찬공기를 공급하는 통로역할을 통해 인접 도시의 열대야 현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확인됐다. 


호남정맥이 위치하는 전주지역(사진)을 대상으로 지형과 토지이용에 따른 찬공기 생성정도, 찬공기 흐름과 층 높이에 대해 분석한 2016년 연구 결과, 밤이 되면 정맥의 산림으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계곡으로 이동해 도심으로 유입됐다. 밤 10시~새벽 4시까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맥에서 생성된 찬공기의 흐름 및 찬공기 층이 증가했으며 계곡부근에서 찬공기 층이 가장 두껍게 형성됐었다.

또한 호남정맥과 가까운 전주의 야간기온 감소(2013년 5℃, 2015년 3.8℃)가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김제(2013년 2.2℃, 2015년 1.8℃), 익산(2013년 4.0℃, 2015년 2.7℃)의 야간기온 감소 보다 크게 나타나 정맥 숲에서 생성ㆍ공급되는 찬 공기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립산림과학원 조재형 산림복원연구과장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도심 생활권에 미치는 ‘백두대간 정맥’의 역할이 새롭게 확인했다”며, “향후 산림의 녹색에어컨 기능 확대와 국민의 도시생활환경개선을 위해서는 백두대간 뿐 아니라 정맥의 보전 및 관리도 강화해야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과는 산림청이 주관하고 국립산림과학원, 한국환경생태학회가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정맥 자원실태조사를 통해 도출됐다. 산림청은 정맥의 산림자원 변화실태를 파악해 효율적인 보호ㆍ관리에 활용키 위해 매 6년마다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앞으로 산림청과 국립산림과학원은 국민의 정맥에 대한 가치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나라 정맥의 1차기 자원실태조사(2009~2014년)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한국정맥의 이해’를 책자로 발간하고 중장기적으로 백두대간 정맥의 보전 방안을 마련에 활용할 예정이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