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입 디젤차의 굴욕…잇따른 악재에 디젤 비중 4년前 수준으로 추락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디젤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4년전 수준으로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디젤 엔진의 비중은 52.7%에 불과해 1년 전 70%에 육박(69.2%)했던 수준에서 17%포인트 가까이 급감했다. 판매량도 지난해 7월 1만4325대에서 8286대로 40% 이상 줄어들었다.

이로써 줄곧 전체 수입차 시장에서 70% 전후 비중을 차지하던 디젤은 2012년 8월(52.9%) 수준으로 후퇴했다. 


수입 디젤차의 쇠퇴는 폴크스바겐, 아우디 몰락과 깊은 연관이 있다. 서류조작에 따른 판매정지 여파로 지난달 폴크스바겐 판매량은 전년 동월보다 86% 가량 감소했고, 아우디도 42.5% 줄어들었다.

디젤 엔진 중심의 브랜드들에서 판매량이 대거 빠지면서 덩달아 디젤 비중 또한 크게 감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영향으로 7월 베스트셀링카 톱10 중 디젤차는 5개에 그쳤다. 지난해 7월 렉서스 ES300h를 제외한 9개 모델이 디젤차였던 점과 크게 달라졌다. 당시 베스트셀링카를 장식했던 폴크스바겐 티구안ㆍ골프ㆍ파사트와 아우디 A6 등은 현재 자취를 감췄다. 
폴크스바겐 티구안


수입차 업계에서는 폴크스바겐, 아우디가 주요 모델 대부분에 판매정지 처분이 내려졌기 때문에 당장 재인증을 통한 판매재개가 쉽지 않다고 보고, 디젤차 비중도 금세 회복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와 함께 디젤게이트에 따른 불신이 여전하고 올 상반기 정부가 추진했던 디젤 억제 정책이 향후 또 재개될 수 있어 디젤차에 대한 전망이 밝지 않다.

더군다나 메르세데스-벤츠가 신형 E-클래스를 출시하면서 가솔린 중심으로 선보였고, 아우디도 A4를 가솔린 위주로 내세우면서 수입차 주요 모델들이 가솔린 위주로 채택해 연료별 비중이 재편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수입 가솔린차 비중은 지난해 7월 26.5%에서 지난달 39.7%로 13%포인트 이상 올랐다. 판매량도 14% 정도 증가했다.

또 하이브리드도 3.8%에서 7.5%로 비중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