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7년 만에 금호家 형제 화해모드 수순…석화 ‘訴 취하’에 아시아나 ‘존중’ 화답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 2009년부터 이어오던 금호아시아나그룹과 금호석유화학 간 형제 간 다툼이 7년 만에 마무리되는 수순을 밟게 됐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측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측을 상대로 한 소송을 취하하기로 한 것에 대해 금호아시아나그룹이 11일 “금호석유화학의 모든 소송 취하에 대해 존중하고, 고맙게 생각한다”고 응답했다.
[사진설명=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이어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그 동안 국민들께 걱정과 심려를 끼쳐드린 것에 대해 대단히 죄송하게 생각하고, 이번 일을 계기로 양 그룹 간 화해를 통해 국가 경제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2009년 경영권 다툼을 시작으로 이어오던 두 형제 간 갈등이 사실상 종결됐다. 이에 따라 형제 사이 계속되던 모든 법적 소송이 취하되면서 두 형제는 각자 위치에서 경영에 전념하기로 했다.

박삼구 회장은 지난해 금호산업을 되찾는 순간부터 계속해서 화해의 손짓을 내보냈다. 박 회장은 금호산업 인수 소감에서 본인의 부덕한 탓으로 가족 문제 때문에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부분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는 뜻을 밝혔다. 박 회장은 당시 “앞으로도 가족 간 화합을 위해 더욱 더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둘 사이 상표권 분쟁을 비롯해 금호석유화학이 아시아나항공의 금호터미널 헐값 매각 등을 주장하며 형제 간 갈등이 계속돼 왔지만, 금호석유화학이 대승적으로 모든 소송을 취하키로 결정하면서 형제 간 화해 급물살을 타게 됐다.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 측은 이날 소 취하 관련 “(기업) 생사의 위기 앞에서 (소송이)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다”며 “글로벌 경제 상황과 경쟁 여건의 불확실성과 불안은 더 높아지는 추세로 한국 경제를 위태롭게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산업별 구조조정의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의 많은 기업이 생사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설명=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이어 “이런 상황 속에서 금호석화는 주주와 시장의 가치를 추구했지만 결과적으로 경제주체 간 갈등이 부득이하게 야기됐고 이는 국내 제도와 정서상 한계에 부딪혔다”며 “금호석화는 이러한 상황이 서로의 생사 앞에서 무의미하다고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금호석화는 “이에 당사는 스스로의 가치를 제고하고 주주에게 이익을 되돌려주는 기업 본연의 목적에 더 집중하고자 금호아시아나그룹과의 모든 송사를 내려놓고 각자의 길을 가기로 결정했다”며 “금호아시아나그룹도 하루빨리 정상화돼 주주와 임직원, 국가 경제에 더 기여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밝혔다.

금호석화는 전날인 10일 아시아나항공 이사진을 상대로 서울남부지검에 낸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 사건과 박삼구 회장, 기옥 전 대표이사를 상대로 서울고등법원에 항소한 ‘기업어음(CP) 부당지원 손해배상 청구소송’ 등 2건의 소송을 모두 취하했다.

이로써 2009년 등을 돌렸던 두 형제는 갈등을 매듭짓게 됐다. 당시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 워크아웃 신청에서 금호석화ㆍ금호피앤비화학ㆍ아시아나항공 등 계열사 8곳이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의 1336억원어치 CP 만기를 최대 15일까지 연장하자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이 제기됐다. 이 과정에서 형 박삼구 회장과 동생 박찬구 회장은 돌아선 바 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