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5년간 미사일 31발 발사…주민 두달치 식량 공중분해
한강이용 첫 대남전단 유포




북한 김정은<사진> 국무위원장이 집권 5년 동안 탄도미사일만 31발을 시험 발사해 최소 1100억원 이상을 공중으로 날려 버린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에는 사상 처음으로 한강을 이용해 대남전단 기구를 띄워 보내는 움직임도 보였다.

27일 국방부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집권 이후 스커드(사거리 300~1000㎞) 16발, 노동(1300㎞) 6발, 무수단(3500~4000㎞) 6발,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 3발 등 탄도미사일만 31발을 발사했다. 이는 김 위원장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집권 18년 동안 발사한 탄도미사일 16발의 2배에 해당한다. 비용으로 계산하면 우리 돈으로 1100억원이 넘는다. 이는 북한 주민들이 한두 달 먹을 수 있는 옥수수를 구매할 수 있는 비용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여기에 김정은 집권 이후 3차례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4차례 핵실험 비용까지 합하면 비용은 수천억 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김 위원장의 탄도미사일 발사 집착에 대해 국방부는 “핵 탑재 미사일의 투발 능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한반도의 남북 길이는 1000㎞가량이어서 스커드와 노동미사일은 북한의 후방지역에서 쏴도 남한 전역이 사정권에 들어간다. 특히 수도권 북방 100~200㎞ 지역에 배치된 스커드 미사일은 수도권에 위협이 된다.

사거리가 긴 무수단 미사일도 연료량을 조절하고 높은 각도로 발사하면 우리나라를 공격할 수 있다.

북한은 이들 미사일을 어느 장소에서든 신속히 발사할 수 있는 이동식발사차량(TEL)을 100여대 보유하고 있어 동시에 수십 발의 미사일을 쏠 수 있다.

한편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지난 22일 한강으로 대남전단 기구를 띄워 보냈다고 27일 밝혔다. 합참은 “지난 22일 오전, 우리 군은 대남전단이 포장된 비닐 봉투 수십 개를 김포 인근 한강에서 수거했다”면서 “관계기관의 조사 결과 북한이 김포 북방의 북측 지역에서 의도적으로 띄워 보낸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북한이 한강을 이용해 대남전단 유포를 시도한 것은 최초 사례라고 합참은 설명했다.

김수한 기자/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