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통일부, 北 ‘대화 책임론’에 “북한 변화 견인할 수 있는 대화돼야”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정부는 북한이 ARF외교장관 회담에서 남한이 대화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비판한데 대해 “현재 상황에서는 제재가 가장 실효적이고 핵심적인 수단”이라고 밝혔다.

27일 박수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우리의 대북정책 목표는 한반도 평화통일”이라며 “이를 목표로 한 최우선 과제는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된 변화”라고 밝혔다. 이어 “이를 위해 제재나 대화, 교류가 모두 수단이 될 수 있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제재가 가장 실효적이고 핵심적인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박 부대변인은 “북한은 지난 수십년간 남북관계 발전, 한반도 평화를 위한 남한의 지원과 노력에 핵과 미사일로 대답했다”며 “이제는 강력한 제재로 북한의 셈법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대화를 하더라도 북한의 변화를 견인할 수 있는, 그런 의미 있는 대화가 돼야 한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또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ㆍTHAAD)를 거론하며 대남 위협발언을 한데 대해 박 부대변인은 “사드를 배치하게 된 것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거듭하고 있는 것에 대한 자구책”이라며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 국가의 안위를 보전하기 위해서 내린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