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병우 속도전ㆍ사드 신중론’…2제로 드러난 더민주 대권 전략
[헤럴드경제=김상수ㆍ장필수 기자]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엔 최대한 신중하고,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 의혹엔 재빠르다. 최근 현안에 대처하는 더민주의 강온(強穩) 차다. 안보ㆍ이념 분야에선 보수층을 고려하고, 현 정부와 각을 세울 때엔 야권 중 가장 먼저 나선다. 수권정당을 목표로 삼는 더민주의 전략이 최근 주요 2제에 그대로 반영된 셈이다.

더민주는 우 수석 의혹이 불거진 이후 연일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사퇴하지 않는다면 국회에 출석하라는 요구까지 내놨다. 우 수석을 계기로 청와대를 집중 포화하는 더민주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는 22일 비대위 회의에서 “오히려 대통령이 나서서 우 수석 방어막을 쳤고 이는 국민과의 정면대결을 선언한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일방통행, 오만, 오기, 독선 이런 용어가 박근혜 정권을 규정하는 단어가 될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그는 “민정수석이란 자리가 본인의 명예회복을 위해 활용하는 자리가 아니란 걸 다시 한번 경고한다”며 재차 사퇴를 촉구했다.

우 수석 의혹을 계기로 고위공직자비리수서처(공수처) 신설 입법화 작업도 일사천리다. 발 빠르게 입법안 내용을 발표한 더민주는 야권 의견을 취합, 7월 내 야권 공동발의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우 원내대표는 “8월 임시국회에서 공수처 법안을 최우선 법안으로 삼아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힌 상태다. 지난 18일 우 수석 의혹이 처음 불거진 후, 사퇴 촉구부터 청와대 비판, 대안 입법 제시까지 단 4일만에 이뤄지는 ‘속도전’이다.

사드는 이와 극명하게 대조된다. 야권 공조 중심에 선 우 수석 의혹과 달리 사드에선 야권의 연이은 요청에도 불구하고 ‘신중론’을 고수하고 있다. 국회 비준 절차를 요구하는 국민의당, 정의당 등과 달리, 정부의 소통부재 지적에 머무는 더민주다.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도 우 원내대표 등은 우 수석 의혹에 발언 대부분을 할애할 뿐 사드는 언급하지 않았다. 우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사드대책특별위원회를 구성, 매주 정기회의를 이어가고 있지만, 뚜렷하게 진전되는 사항은 없다. 최근 긴급 현안질문을 비판하며 국회에 “사드대책특위를 구성하자”고 제안하는 정도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더민주 지도부가 사드에 신중론을 고수하는 건 수권정당을 고려해서다. 우 원내대표도 “당론을 확정할 때 대선 후보가 곤란해지는 상황이 올 수 있다. (신중론이) 내년 대선 후보의 운신 폭을 넓혀줄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우 원내대표도 취임 이후 “북한에 할말은 하겠다”며 보수층 공략에 직접 나섰다. 사드 신중론도 그 연장선 상이다. 안보ㆍ이념 등의 현안에선 최대한 보수층까지 고려하면서, 현 정부 실정(失政)과 관련된 현안에는 제1야당을 강조하며 수권정당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전략이다. 향후 각종 현안에 대처할 더민주의 행보도 최근 2제를 통해 예측 가능해진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