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군 “北미사일 3발 중 1발, 초기에 공중폭발”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북한이 지난 19일 발사한 탄도미사일 3발 중 1발은 발사 초기에 폭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합동참모본부는 22일 북한이 19일 발사한 3발의 탄도미사일 중 1발이 발사 초기 공중 폭발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북한은 당시 스커드 미사일 2발과 노동미사일 1발을 발사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날 발사된 3발 중 2발은 500∼600㎞ 내외를 비행했지만, 두 번째로 발사된 스커드 미사일은 정상 궤도를 그리지 못하고 초기에 폭발했다는 것이다.

군 당국 일각에서는 이를 근거로 북한이 당시 핵기폭장치 실험을 했다고 주장한 것이 거짓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북한이 핵기폭장치 실험을 했다면 발사 초기에 폭발이 일어나지 않고 하강 단계에 폭발해야 한다는 것이 그 주장의 근거다.

북한 매체들은 20일 탄도미사일 발사 소식을 전하며 “(이번 발사가) 목표지역의 설정된 고도에서 탄도로케트에 장착한 핵탄두 폭발조종장치(기폭장치)의 동작 특성을 다시 한 번 검열(점검)하였다”고 밝혔다.

핵기폭장치 실험은 핵폭탄과 전자기파의 피해를 극대화하기 위해 탄두를 수 ㎞ 고도에서 폭발시키기 위한 실험을 말한다. 통상 핵폭탄이 지상에 도달해 폭발하는 것보다 지상 수 ㎞ 고도에서 폭발하면 살상반경이 훨씬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군 당국에서도 북한의 이날 발사에서 핵기폭장치 실험이 이뤄졌을 가능성도 있다는 반론이 나오는 등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이날 성공적으로 발사된 2발의 미사일에서 핵기폭장치 실험이 이뤄졌다면 북한의 주장을 거짓이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만약 발사된 3발 중 1발이 초기에 폭발했지만, 정상 비행한 나머지 2발이 동해상 수 ㎞ 상공에서 북한의 기폭 시도에 의해 폭발했다면 북한의 주장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국 당국 내부에서도 이런 의견 차가 생기는 이유는 발사 단계에서 1발이 폭발한 것은 관측되나 하강 단계에서 2발이 폭발했는지는 확인이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레이더는 미사일이 높은 고도를 비행할 때 비교적 쉽게 탐지하지만, 지표면과 가까운 상승 단계나 하강 단계에서는 상대적으로 탐지가 어렵다. 둥근 지구에서 방사된 레이더 빔이 지표면과 가까운 곳보다 고도가 높은 곳을 더 잘 탐지하기 때문이다.

군 당국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앞으로도 이런 실험을 추가로 실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