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물러서지 않는 우병우, 물 건너가는 협치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청와대가 온갖 의혹을 받고 있는 우병우 민정수석을 둘러싼 파문에 정면돌파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야권은 연일 우 수석의 사퇴를 촉구하면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어 20대 국회 출범과 함께 시도된 협치는 또 다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21일 북한의 도발 위협과 관련해 안보상황 점검을 위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주재로 아시아ㆍ유럽 정상회의(ASEM) 및 몽골 공식방문 이후 짧은 휴식을 마치고 공식일정을 재개했다.

박 대통령이 3일 만에 공식일정을 재개하면서 안보 카드를 빼든 것은 북한이 부산과 울산 인근을 겨냥한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하는 등 안보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이긴 하나 우 수석 파문 속에서도 변함없이 이전처럼 경제ㆍ안보챙기기에 주력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사진=헤럴드경제]

우 수석이 전날 잇단 의혹에도 불구하고 정무적 책임을 질 생각이 없다고 밝힌 것도 인사권자인 박 대통령과의 교감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청와대는 앞서 19일 우 수석에 대한 의혹과 관련해 사실상 박 대통령을 겨냥한 것이라고 보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안보 위기와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대통령과 정부가 총력을 다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방적인 정치공세나 국정 흔들기는 자제돼야 한다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가 현기환 전 정무수석의 총선 공천 개입 발언 녹취록이 공개된 데 대해서도 “현 전 수석 개인적으로 한 말”이라며 선을 그은 것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우 수석을 둘러싼 의혹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 수석은 전날 이례적으로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1시간여동안 자신의 결백을 호소했지만 모든 의혹을 해소하기에는 부족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오히려 처가 강남 부동산을 넥슨 측과 매매하는 과정에서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고 한 것과 달리 계약 당일 현장에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거짓말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의무경찰로 입대한 우 수석 아들의 ‘꽃보직’인 서울지방경찰청 전출은 우 수석과 관계없이 서울지방청 차원에서 알아서 ‘챙긴’ 선물이라 해도 병역문제에 민감한 국민 눈높이에서 볼 때 납득하기 어렵다.

우 수석이 검찰 수사에 응하겠다면서도 “저는 어차피 모른다, 아니라고 할 수밖에 없다”고 한 것을 두고도 검찰 지휘 계선에 깊숙이 관여하는 민정수석이 사실상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야권은 물론 여권 일각에서조차 현직 민정수석이 검찰 조사를 받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우 수석의 사퇴를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야권은 우 수석의 사퇴를 계기로 특검과 특별감찰, 그리고 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까지 거론해가며 박 대통령과 청와대를 압박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우 수석을 끝내 안고 간다면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 행사로 이미 상처를 입은 협치는 한층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우 수석을 내치자니 임기 말 권력누수가 우려된다.

“할일은 많고 시간은 없는데 자꾸 국정 본질과 무관한 일이 부각되니 난감하다”는 한 청와대 관계자의 말에서는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청와대의 곤혹이 묻어난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