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 ‘비상대책’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녹취록 파문 진상조사 논의조차 안돼
김희옥 비대위원장 유감표명


친박계 윤상현ㆍ최경환 새누리당 의원과 현기환 전 청와대 정무수석의 공천 개입 파문이 확대되는 가운데, 당 지도부가 진상규명이나 관련자에 대한 처벌 없이 사안을 매듭지을 것으로 관측된다. 8ㆍ9 전당대회를 앞두고 칼을 빼들어 계파 갈등을 증폭시키기보다 서둘러 논란을 봉합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희옥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은 20일 회의에서 이번 녹취록 파문과 관련 “지난 1월의 일이고 당시 공천관리위원회의 임무도 종료됐지만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으로서 송구하다”며 유감을 표했다. 비대위의 대응책으로는 “예의주시하며 원칙에 따라 대처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이날 회의에서 진상조사 등 대응 방안은 논의 테이블에 오르지 않았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더 이상 이전투구는 안 된다”며 녹취록으로 인한 확전 자제를 촉구했다. 정 원내대표는 “지금은 당을 재건할 때지 또 다시 계파 투쟁으로 뒤늦은 책임 공방을 벌일 때가 아니다”라며 “모두가 자제하고 자숙하면서 새로운 시작은 준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원내대표는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정치로 풀어야지, 철천지 원수도 아니고 같은 가족 아니냐”며 “(관련자) 징계는 없다”고 못박았다. 당 일각에서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해 비대위가 진상조사와 제재를 요구하고 있지만 반성과 자숙이라는 소극적 대응을 선택한 셈이다.

비대위 안건과 당무를 책임지고 있는 박명재 사무총장 또한 ‘인물’보다 ‘제도’에 초점을 두고 “모두 공천 제도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합리적이고 공정한 공천제도의 과제별 세부사항을 논의하고 결론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또 당 윤리위원회에 관련자들을 회부하는 안도 제기되지만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다. 윤리위원장의 공석 상태가 장기화되다 이날 이진곤 전 국민일보 논설위원실장이 신임 위원장으로 임명, 의결됐다. 신임 위원장 체제가 자리잡은 뒤 윤리위가 녹취록 사건을 손대기엔 적기를 놓칠 우려가 있다.

현재 새누리당의 유일한 공식기구인 비대위가 녹취록 파문의 책임자를 처벌하기보다 갈등 봉합 행보를 택하면서 사건은 ‘유야무야’ 마무리될 가능성이 커졌다. 새누리당은 이번 녹취록 파문을 포함해 4ㆍ13 총선 과정에서 여러 차례 문제가 불거졌지만 늘 유야무야 마무리됐다.

이른바 ‘공천 살생부’ 논란이 발생했을 때에도 당시 최고위원회의 조사 결과 살생부가 없다는 잠정 결론이 나자 김무성 전 대표가 해명과 사과를 하며 일단락됐다. 공관위의 경선 여론조사 문건 유출 논란 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으나 별다른 혐의점을 찾지 못해 각하된 바 있다.

새누리당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문제를 소극적으로 넘어가리라 전망되는 가운데 야권에서는 강도 높은 공세가 이어갔다.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20일 윤ㆍ최 의원의 녹취록 내용이 공직선거법 237조 위반이라고 비판했고,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해명을 요구했다.

유은수 기자/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