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위안부 지원재단, ‘반쪽’ 출범 기정사실화
[헤럴드경제=김우영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이 ‘화해ㆍ치유재단’이란 이름으로 7월 말 공식 출범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재단 설립 과정에서 준비위원회와 관련 단체 간 만남조차 성사되지 못하면서 할머니들을 위한 재단이 할머니들에 의해 외면받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20일 외교부 관계자는 “재단을 출범시키기 위한 작업이 마무리되고 있으며 이달 말 설립될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 이사장은 현재 준비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태현 성신여대 명예교수가 계속해서 맡을 예정이다. 이로써 지난해 말 한일 간 위안부 합의 타결 이후 7개월여 만에 재단이 선보이게 됐다. 재단은 비영리재단으로 설립되며 서울 시내 모처에 사무실을 마련해 활동할 예정이다.


그러나 합의 무효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거센데다 일본이 출연하기로한 10억엔의 구체적 용도와 성격을 놓고도 매끄럽게 정리가 되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일본 우익 세력을 중심으로 10억엔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소녀상 이전을 연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외교갈등 사안으로까지 불거질 수 있다.

무엇보다 피해 할머니들과 관련단체가 재단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재단의 위상이나 앞으로의 활동에 적지 않은 제약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태현 위원장은 지난달 말 나눔의집을 찾아 이옥순 할머니를 만났지만 끝내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나눔의집 측은 “누구에게나 문은 열려 있다”며 방문을 허락한 것에 어떠한 의미도 없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는 아예 만나지 못했다. 정대협은 시민사회단체 및 학계와 함께 정부 재단에 반대하며 ‘정의기억재단’이라는 별도의 재단을 꾸렸다.

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