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친박계에 칼날… 김무성 ‘7·14 연설’ 과감해진 대권 의지
2년전 ‘6·8선언’보다 비판수위 세져


무대(김무성 새누리당 전 대표)가 달라졌다. 2년 전보다 권력 비판의 수위는 강해졌고, 경제 개혁의 논리는 정교해졌다. 지난 2014년 6월 8일 발표된 김 전 대표의 전당대회 출마 선언문과 전날 ‘당산 회동’서 나온 7ㆍ14 연설을 비교 분석한 결과다.

특히 야당과의 협력을 강조했던 과거와는 달리, 이번에는 야권을 ‘포퓰리즘 세력’이라 규정하며 선명성 극대화에 집중했다. 김 전 대표의 전날 행보가 사실상 대권 선언이나 마찬가지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15일 헤럴드경제의 분석에 따르면, 김 전 대표의 6ㆍ8 선언과 7ㆍ14 연설은 내용과 구조가 ‘판박이’처럼 비슷하다. 당 안팎과 사회 곳곳에 쌓인 적폐(積弊)를 끄집어내 각을 세우고, 대안을 제시하는 형식이다. 핵심 의제도 ▷주류ㆍ기득권의 불성실 및 부도덕 혁파 ▷수직적 권력구조 개편 ▷공정한 경제 체제의 수립으로 공통 수렴됐다. 그러나 소위 ‘친박(親박근혜)계’라 불리는 당내 주류와 그들이 만든 권력구조에 훨씬 날카로운 비판의 칼날을 들이댔다는 점은 확연히 달라진 점이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지난 14일 가진 지지자 1500여명과의 만찬 회동에서 환하게 웃고 있다. 
박해묵 기자/mook@heraldcorp.com

김 전 대표는 6ㆍ8 선언에서 세월호 참사를 언급하며 “박근혜 대통령이 ‘비정상의 정상화’를 추진했지만 묵은 때는 쉽게 벗겨지지 않았다”고 지적하는 한편 “과거와의 전쟁을 선포한다. 절차가 비민주적인 정당에서 민주주의를 기대할 수 없다”고 일침을 놨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목소리를 낸 셈이다. 다만 선언문에서 친박계가 혁파 대상으로 직접 지목되지는 않았다. 반면 7ㆍ14 연설에서는 친박계에 대한 분노가 고스란히 드러났다. ‘현재 권력’과의 대립각 형성을 피하지 않은 것이다.

김 전 대표는 이날 “다양한 세력을 포용하고, 당을 민주적으로 운영하고자 노력했다. 2012년에 공천에서 억울하게 탈락했을 때도 참았다. 선당후사 정신으로 이를 악물고 참은 것”이라면서 “당 대표가 정국을 파국으로 이끌고 가서는 안 된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했다.

김 전 대표는 특히 박사모(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를 지목하며 “박사모는 옳지 못하다. 제왕적 대통령 체제를 바꿔야 한다”고도 했다. 총선 참패의 주요 원인으로 친박계의 ‘계파 공천’이 지목되는 가운데, 차별점 만들기에 나선 셈이다.

경제 체제 개혁의 논리는 더욱 정교해졌다. 김 전 대표는 6ㆍ8 선언 당시에도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대등한 입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공존 경제민주화’의 틀을 만들겠다”고 한 바 있다. 7ㆍ14 연설에서는 그 개념이 한층 넓어졌다. “격차 해소를 위해 공정한 경제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양극화라는 신자유주의식 자본주의의 폐해에서 벗어나 사회적 약자를 더 잘 돌볼 수 있는 국민 지원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김 전 대표의 판단이다. 경제 개혁론의 대상과 근거가 국가 전체로 확장한 것이다.

김 전 대표는 또 야권과의 노선을 차별화하는데도 주저하지 않았다. 7ㆍ14 연설에서 “나라를 망하게 하는 망국적 포퓰리즘만 남발하는 사람이 많다. 인기에만 영합하는 사람들이 대한민국을 이끌도록 놔둬야 되겠느냐”고 거듭 강조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6ㆍ8 선언에서 “야권의 목소리를 듣고 설득의 힘을 발휘해야 하자”고 했던 것과는 180도 달라진 입장이다. 6ㆍ8 선언의 ‘협치론’이 원내 협상을 원활히 이끌어야 하는 당 대표로서 나온 것이라면, 7ㆍ14 연설의 ‘반(反) 포퓰리즘론’은 보수 세력의 대표자이자 차기 지도자의 입장에서 꺼낸 것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이슬기 기자/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