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경련 “순자산 증가율, 가계가 기업 앞질러”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지난해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이 가계에 역전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은 2015년 2.2%로, 6.1%를 기록한 가계의 3분의 1수준에 그쳤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는 한국은행의 국민대차대조표를 이용해 경제 주체별 자산현황등을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2008∼2015년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이 가계를 상회한 횟수는 7개 연도 중 2011년과 2014년 두 차례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전경련은 “기업의 순자산 증가율 변동폭은 경기에 따른 부침이 심한 반면 가계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데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의 성장률 약세가 지속됐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가계의 순자산은 2008년 4899조 원에서 2015년 7176조 원으로 연평균 5.6%씩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기업의 순자산은 1112조원에서 1467조원으로 매년 4.0%씩 늘어났다. 가계의 순자산 증가속도가 기업보다 빨랐던 것이다.

2015년 기준 가계가 보유한 순자산은 기업의 4.9배에 달했고, 부채를 합산한 자산의 경우 가계(9598조9000억 원)가 기업(5922조4000억원)보다 1.5배 많았다.

전경련은 자산과 순자산 간 격차가 큰 것은 기업이 다른 주체보다 부채를 많이 지는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순자산은 유보금과 비슷한 개념”이라며 “가계보다 기업의 유보금 증가율이 낮은데도 사회 일각에서 사내유보금 환수 주장이 끊이지 않고 있다. 기업의 성장을 돕기 위해서는 그런 논쟁을 자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