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방·통융합 골든타임 놓친 한국…
SKT-CJH 합병무산 파장…


공정거래위원회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M&A)을 불허한 가운데 방송ㆍ통신시장에서 자율적인 구조조정 기회를 놓쳤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공정위 결정이 성장판이 닫힌 케이블 시장 재편을 원천봉쇄한데 이어 방송ㆍ통신 융합이라는 세계적 추세에도 역행한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글로벌 방송ㆍ통신시장에서는 ‘메가딜’이 속속 성사되고, 글로벌기업들의 국내 시장 공략도 거세지고 있다.

이에 공정위의 독과점에 대한 판단과는 별개로 한국이 세계적인 미디어 플랫폼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최근 미국과 일본, 유럽 등에서는 방송ㆍ통신기업간 굵직굵직한 M&A가 이어졌다. 최근 5년새 산업구조를 재편할 만한 메가딜은 7건이다. 미국 AT&T와 디렉TV, 스페인 카날+와 텔레포니카 등이 일례다. 이같은 추세는 업종과 국경마저 넘어섰다. 유럽에서는 영국 이동통신사 보다폰이 약 77억유로에 독일 최대 케이블TV 업체 카벨도이칠란트 등을 합병했다. 스페인 이통사 텔레포니카도 약 80억유로를 들여 네덜란드 이통사 KPN의 독일법인인 E-플러스를 사들였다.

글로벌 방송ㆍ통신시장은 초대형 M&A로 판이 부쩍 커진 양상이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이동통신 시장(매출 기준)과 방송 시장(소비자ㆍ광고지출 기준) 규모는 5년 전보다 각각 약 188조원, 109조원씩 늘어 총 3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국내 방송통신업계는 성장 절벽에 직면한 상태다.

지난해 SK텔레콤ㆍKTㆍLG유플러스의 매출은 2년연속 뒷걸음질쳤다. 지난해 3사 합산영업이익도 역시 지난해와 올해 각각 3조원대로 추정된다. 이는 5조원대에 달했던 10년전과 비교하면 절반에 달하는 수치다. 가입자수 정체로 포화된 케이블업계 상황은 더 절박하다. 업계 관계자는 “공정위 결정은 수익성 악화에 허덕이는 방송통신시장 내에서 자율적인 구조조정으로 재도약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치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권도경ㆍ이혜미 기자/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