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與전대, 3자구도 ‘새판’…중도 이주영-강경비박 김용태ㆍ정병국-강경친박 선택은?
당내 세력 분화에 따라 3자구도 ‘새 판’ 양상, 기존 예상 모두 뒤집어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단 35일 앞으로 다가온 새누리당의 전당대회가 사실상 3자 구도 형태로 재편되는 분위기다. 친박(親박근혜)과 비박(非박근혜)으로만 구분되던 당내 세력분포가 강경친박ㆍ중도친비박ㆍ강경비박 세 갈래로 분화하면서, 각 집단의 ‘화력’을 지원받는 대표선수도 자연스레 다자구도가 됐다. ‘친박 좌장’인 최경환 의원과 ‘비박 대표’인 유승민 의원이 양자대결을 펼칠 것이라던 정치권의 초기 전망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특히 최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데다, 이주영 의원이 중도친비박의 지지를 등에 업고 ‘당 대표 경선 완주’ 의사를 밝히면서 강경친박의 고민도 깊어지는 형국이다.

5일 정치권에 따르면 전당대회를 앞두고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것은 강경친박이다. 친박계 통합 당권 주자로 유력하게 거론되던 최 의원의 마음이 후보등록일(7월 26일) 3주 전인 오늘까지도 불출마 쪽에 기울어 있기 때문이다. 강경친박의 핵심인물이자 잠재적 당권 주자인 홍문종 의원은 이날 아침 라디오에서 “(최 의원은) 이미 여러 번 ‘전당대회에 출마할 생각이 없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며 “현재 논란의 중심에 (본인이) 서 있다고 생각하는 듯하다. 당이 (자신의 거취 등을 두고) 치열하게 전투를 벌이면 내년 대선 국면에서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비친다”고 현 상황을 전했다. 전당대회 구심점을 사실상 잃어버린 셈이다.


친박계로 분류되던 이 의원이 전당대회 출마선언과 함께 ‘주류와 각 세우기’에 돌입한 점도 강경친박으로선 부담이다. 이 의원은 지난 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총선 참패의 책임자들은 자숙해야 한다.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최 의원은 물론 강경친박이 ‘대안’으로 염두에 두고 있는 원유철 전 원내대표까지 겨냥한 전방위 포격이다. 이 의원이 계파를 초월한 태도를 보임에 따라 중도친비박이 조직적으로 표를 몰아주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이 의원 역시 ‘비박계 일부가 힘을 실어줄 것’이라는 정보에 “(중도친비박이) 그런 결정을 내린다면 당의 미래와 화합, 혁신을 위한 생각”이라고 수긍의 뜻을 보이기도 했다.

결국 강경친박은 ‘대안 부재’와 함께 어떤 후보를 내더라도 집단내 표심 분화를 막을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역시 강경친박으로 분류되는 이정현 의원이 당권 도전 의사를 강하게 밝히고 있지만, 그가 최근 ‘KBS 외압 녹취록’ 파문에 휘말린 것을 고려하면 지지를 표하기 어렵다. 서청원 의원이 최 의원을 대체할 카드로 ‘반짝’ 부상하기도 했지만, 본인이 “생각도 전혀 없고, 맞지 않는 이야기”라는 의사를 밝히며 ‘해프닝’으로 그친 터다. 그렇다고 이 의원을 밀어주기에는 ‘미래’가 불안하다. 이미 ‘탈박’을 선언한 이 의원이 이제 와 강경친박의 ‘입맛대로’ 움직여줄리는 만무하다. 이에 따라 홍 의원이 마지막 남은 카드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강경비박 역시 이 의원을 지지하는데 부정적이기는 마찬가지다. “그래도 친박은 친박”이라는 의구심 탓이다. 강경비박의 관심사는 이미 당 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한 김용태 의원과 이르면 10일 거취를 밝힐 정병국 의원의 단일화다. ‘대권 주자로 급부상한 유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공식화한 마당에, 더 이상의 주자 모색은 불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김 의원과 정 의원이 당내에서 소문난 혁신파인 만큼, 둘 중 한명에게 표를 몰아주겠다는 것이다. 한편, 새누리당은 6일 의원총회를 열고 단일성집단지도체제 도입 여부와 모바일투표 시행 여부를 논의한다. 의총 결과에 따라 잠재적 당권 주자들의 추가 출마가 이어질 수도 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