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식물가 고공행진 속 소주ㆍ김밥 상승률 높아…통계청
[헤럴드경제=이해준 기자]0%대의 저물가가 지속되고 있지만 외식물가 상승률은 2%를 넘어 평균 물가의 두배를 훌쩍 넘은 가운데 소주와 김밥 등 서민들이 즐겨찾는 외식 품목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외식물가 상승률은 2.5%로 전체 물가상승률 0.9%의 2배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조사하는 외식 품목 38개 가운데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인 것은 외식 소줏값으로 1년 전보다 12.5% 올랐다. 소줏값은 1분기에도 10.7% 올라 전체 외식품목 중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인 데 이어 2분기 연속 외식 품목 물가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외식 소줏값이 큰 폭으로 오른 것은 지난해 말 주류업체들이 잇따라 소줏값을 인상한 후 음식점들이 이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이어 김밥으로 전년 동기보다 5.2% 올라 2위를 차지했고, 외식 쇠고기 값, 외식 생선회가 4.8%씩 올라 3위를 차지했다.

김밥 외에도 간단하고 저렴하게 한 끼를 때울 수 있는 외식 품목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외식 라면값은 3.6% 올라 물가 상승 품목 상위 8번째 자리를 차지했고 짬뽕(3.5%), 자장면(3.4%), 떡볶이(3.4%) 등도 차례로 9∼11위를 차지했다.

불고기(3.9%), 갈비탕(3.8%) 등 축산물이 주재료로 들어간 품목의 가격 상승 폭도 컸다. 소 사육두수가 줄어드는 반면 수요가 늘어나면서 쇠고기 가격이 지난해 이후 10%를 넘은 고공행진을 지속하면서 외식 가격도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1년 전보다 가격이 내린 품목은 학교급식비(-2.2%)와 국산차(-0.1%) 등 2개 품목뿐이었고, 스파게티(0.7%)와 치킨(0.3%)을 비롯해 6개 품목만이 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외식물가가 고공행진을 지속하면서 서민들의 체감물가가 높아지고 있다.

hj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