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중, 상표 브로커 해결을 위해 적극 협력키로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특허청(청장 최동규)은 지난 21일 한ㆍ중 FTA 발효 이후 처음으로 개최된 상표분야 최고위급 회담에서 양국의 상표 브로커 해결을 위해 적극 협력키로 했다.

우선, 모방상표 등록 방지를 위한 선제적 협력 방안에 합의하고 한글 상표, 한류 콘텐츠를 통해 잘 알려진 브랜드 등 한국 상표를 모방한 것으로 의심되는 중국내 출원에 대해서는 당국 간 정보 공유를 통해 심사 단계에서 원천적으로 등록이 방지 될 수 있는 협력 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또한, 모방상표가 심사단계에서 걸러지지 않았더라도 이의신청 중 정보공유를 통해 등록을 방지하는 사후적 협력체계 구축에도 합의했다. 

특허청은 지난 21일 중국 북경에서 중국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과 제4차 한-중 상표 분야 청장급 회담을 개최하고 한-중 상표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왼쪽에서 두번째 류준첸 공상행정관리총국 부국장, 오른쪽에서 두번째 최동규 특허청장.

이와 같은 일련의 합의는 등록된 모방상표를 다시 무효시키기 위해 상당한 시간적, 경제적 피해를 감수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ㆍ중 상표 당국은 이러한 정보공유를 조속히 구현키 위해 모방상표를 손쉽게 검색하고 이를 신속히 통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특허청은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되기 전까지는 중국에서 모방한 것으로 의심되는 상표 리스트를 주기적으로 중국당국에 제공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양국은 심사처리기간 단축 및 심사품질 강화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앞으로도 다양한 인적 교류 및 정보공유를 통해 양 기관의 협력을 강화하는데도 합의를 도출했다.

최동규 특허청장은 “중국과의 상표 분야 협력은 우리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특허청이 우선순위를 두고 추진하는 분야”라며 “이번 회담을 통해 확인된 중국의 지재권 보호 의지와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양국의 기업들이 안심하고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특허청에 따르면 국내 기업이 올해 5월 현재까지 중국 현지에서 타인에게 선점당한 상표만 1000여개가 넘고, 피해기업 또한 600여개 사에 이른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