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올해도 주택인허가 60만가구 넘을 듯…“선제적 미분양 관리 필요”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전국의 주택 인허가 물량이 올 상반기 절정을 이루고, 하반기엔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책연구소인 국토연구원은 21일 ‘2016년 주택인허가물량 전망과 시사점’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올 하반기까지 주택 인허가물량을 59만∼63만가구 수준으로 전망했다.

이는 77만가구가 인허가된 작년의 78% 수준. 하지만 예상치(추세)보다는 많은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연간 주택인허가물량을 추세적으로 분석했을 때, 올해 인허가물량은 59만가구 정도로 예측된다.

하지만 그동안 주택시장에서는 특정 해의 주택인허가물량이 추세선을 넘으면 이어지는 해의 인허가물량도 추세보다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작년 인허가 물량이 실제로 추세선을 넘은 만큼 올해 최종 물량도 그럴 가능성이 높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실제 올 상반기 주택인허가물량은 작년과 비교해 늘어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4월 주택인허가물량은 총 22만2684가구로, 작년 같은기간 대비 30.9% 증가했다. 수도권과 지방은 작년 대비 각각 18.3%와 45.0% 늘었다.

보고서는 이처럼 주택인허가물량이 작년 수준을 넘어선 것과 관련해 “주택업체 등 주택공급자들이 시장이 본격적으로 조정국면에 접어들기 전에 주택공급을 늘린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하반기 인허가물량은 상반기보다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회복세에 접어들 때에는 하반기 인허가물량이 증가하고, 반대로 조정국면으로 떨어지면 하반기 인허가물량이 줄어드는 게 통상적인 주택시장의 움직임이기 때문이다.

보고서에선 예상대로 하반기의 인허가 물량이 상반기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데다 금리ㆍ지역경제ㆍ정책 등의 변수까지 감안하면 올해 최종 주택인허가물량은 적게는 59만가구에서 최대 63만가구 수준으로 내다봤다.

박천규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 연구센터장은 “주택공급 프로세스의 시작인 주택인허가가 작년보다는 줄지만, 추세보다는 많아 주택의 미분양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며 “모니터링과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설업체는 미분양주택 증가에 대비해 철저한 자체 관리계획이 필요하고, 미분양주택을 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ny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