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수 금오도 속살 담은 ‘옛사랑, 금오도’ 사진전
[헤럴드경제(여수)=박대성 기자] 비렁길로 잘 알려진 전남 여수 금오도의 속살을 담아낸 박성태(50) 사진작가의 ‘옛사랑, 금오도’ 사진전이 여수 해안통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내달 4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박 작가가 지난 1년 6개월 동안 촬영한 다큐멘터리 사진 50여 점과 사진집 ‘임금의 섬,민중의 섬 금오도’(눈빛출판사)를 선보여 주목을 받고 있다.

박 작가는 궁궐을 짓거나 임금의 관을 짜는 데 금오도의 소나무가 사용되면서 오랜 기간 동안 사람들의 입도가 허용되지 않은채로 남아 있다 130여 년전에 입도가 허용된 독특한 스토리를 가진 금오도를 있는 그대로 앵글에 담아냈다.

그의 사진은 산업화와 도시화 돼 가는 섬을 목가적인 평화로운 풍경을 미화하지 않고, 문명의 침입에 맞서 힘겹게 살아가는 금오도 주민들의 애환과 공동체적인 삶을 ‘사회적 서정성’으로 담아냈다.

박 작가는 “우리 시대에 금오도는 우리 자신과 가정, 사회,국가,인류가 자신들을 들여다 보고 성찰의 계기로 삼을 수 있는 일종의 거울이다”며 “자연과 공존하며 나와 너의 경계가 없는 ‘우리’라는 공동체 개념으로 살아가는 삶의 방식에 주목했다”고 밝혔다.

실제 그의 사진에는 운동장만한 밭을 쟁기질 하는 모습이나 폐가에 걸려진 멈춰진 시계, 당제와 매굿, 도시화된 아스팔트 도로 위에서 힘겹게 생활 하는 모습, 지붕 높이만한 돌담집, 임금의 소나무, 시커먼 그을음으로 뒤덮인 정개(옛 부엌),흉년이 들어 먹을게 없을 때 끼니를 대신한 파래를 채취하러 갱번(갯가)에 나가는 모습, 아직도 여전히 살아있는 우물가 풍경 등이 담겨져 있다.

이번 전시작은 우리 스스로 잃어버리거나, 시대 변화에 따라 변모한 원초적 고향으로 상징되는 금오도라는 섬을 지난했던 삶을 한 땀 한 땀 직조해낸 기록과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리얼리즘 사진의 진수를 통해서 삶의 근원을 일깨워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사진책 전문 출판사인 눈빛출판사 이규상 대표는 “박성태의 금오도 사진은 근대화에 매진해 온 우리가 잊거나 외면해 온 다도해의 섬과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을 상기시켜주는 힘이 있다”며 “그리하여 금오도가 절해고도로 끊긴 것이 아니라 임금과 민중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징하게(감동적으로)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박 작가는 지난 2014년 여수애양병원의 평안의 집과 도성마을에 거주하는 한센인회복자들의 삶을 담은 ‘우리안의 한센인, 100년만의 외출’이라는 첫 사진전을 통해 주목을 받았고, 지난 해 12월 ‘임금의 섬,민중의 섬 금오도’ 사진전을 가진 바 있다.

전시 관람 문의는 여수해안통갤러리(061-662-5479).



parkd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