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국차, 한-미 FTA 득 봤다…국내 판매량 사상 첫 日 제쳐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자동차 시장에서 한-미 FTA의 효과가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FTA체결 이후 미국 브랜드의 한국 내수시장 판매량이 해마다 증가하며 사상 처음으로 일본시장 판매를 앞지른 것이다.

미국차는 FTA에 따른 관세 인하로 인한 효과가 힘을 발휘하면서 국내 내수시장 판매량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20일 한국수입차협회와 일본자동차수입조합 등에 따르면 포드, 크라이슬러, 캐딜락 등 미국 브랜드의 지난해 국내 판매량은 역대 최대인 1만7501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일본시장 판매는 1만4623대에 그쳤다.


올해 역시 사정은 비슷하다. 지난달까지 미국차의 국내 누적 판매량은 7140대로 일본의 5224대를 여유있게 앞지르고 있다. 이 추세대로 라면 올해도 미국차의 한국시장 판매량은 일본 시장을 추월할 것이 유력하다.

여기에 수입차 판매 통계로 잡히지 않는 한국GM의 임팔라, 카마로 등의 실적까지 합쳐지면 판매량은 더 늘어난다. 이들 모델은 해외에서 직접 생산에 국내에 들여오고 있지만, 자동차업계에선 국산차로 집계되고 있다.

이처럼 미국차의 국내 시장 승승장구는 한-미FTA로 관세가 인하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갖춘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단적으로 한-미FTA가 발효되기 전인 2011년 미국차의 국내 판매량은 8252대로 일본(1만1440대)의 70% 수준에 불과했다.

미국차 수입관세율은 12년 3월 FTA 발효되면서 기존 8%에서 4%로 떨어졌고 여기에 올해부터는 아예 0%대로 떨어졌다. 반면 한국차의 미국 수출관세율은 지난해까지 FTA 발효 이전인 2.5%를 유지해오다가, 올해 0%로 낮춰졌다.

일각에서는 한미 양국간 자동차 시장의 수출입 관세가 사라진 것은 장기적으로 미국 브랜드의 한국 시장 진출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시장 규모가 작은 한국에서 미국차 판매량이 일본을앞지른 것은 한-미 FTA 효과 때문”이라며 “올해부터 양국간 자동차 수출입 관세가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에 미국차의 국내 판매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igiza77@heraldcorp.com





<11-16년 한-일 미국차 판매대수>

-----------------------------------------------------

한국 8,252 9,724 11,657 14,470 17,501 7,140

일본 11,440 13,873 14,440 15,646 14,623 5,224



※ 한.일 양국 수입차협회, 16년은 1-5월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