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G이노텍 ‘성과역량 新인사제도’ 생산직 현장직원까지 확대 적용
연공·근속기준 호봉제 폐지


LG이노텍이 호봉제를 전면 폐지하고 성과역량 기반 인사제도를 전면 도입한다. 사무직 및 기술직에만 적용했던 성과역량 기반 인사제도를 노동조합과 협의 아래 생산직 현장사원들에게까지 전면 적용하는 것이다.

LG이노텍은 16일 모든 현장직의 임금, 평가, 진급, 교육 체계를 성과와 역량 중심으로 새롭게 바꾸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사무 기술직 4012명에게만 적용됐던 성과역량 기반 신 인사제도를 2년여간 노동조합과 면밀한 검토 끝에 4000여명의 생산직 포함 8344명 전 직원에게 전면 적용하는 것이다.

앞으로 LG이노텍에서 일하는 모든 직원들은 연공서열이나 근속연수 대신 성과와 역량에 따른 임금인상률이 차등 적용된다. 또 우수 성과자에게는 기본 임금 외에 ‘성과 인센티브’가 추가로 지급된다. 혁신활동 우수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 직원에게는 ‘수시 인센티브’로 보상한다. 팀워크가 중요한 현장 업무 특성을 고려해 상위 10% 우수 조직에게는 ‘우수 라인 인센티브’도 별도로 마련했다.

성과 우수자는 기본 인상률보다 더 높은 임금인상률을 적용 받고 추가적으로 각 기준에 부합할 경우 ‘성과 인센티브’, ‘수시 인센티브’, ‘우수 라인 인센티브’ 등을 챙기면서, 연봉의 최고 30%까지 더 많은 임금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급여 뿐 아니다. 승진에서도 확실한 보상책을 마련했다. LG이노텍은 현장직 사원이 업무능력에 따라 조기 진급할 수 있는 ‘발탁 진급제’도 신설했다. 성과와 역량이 탁월한 직원은 빨리 성장시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LG이노텍은 성과와 역량의 공정한 측정을 위해 인사평가도 개선했다. 생산 현장 팀장과 임원이 참여하는 ‘공정평가위원회’가 핵심이다. 직원의 생산성, 품질, 아이디어 제안 실적 등을 분석해 조직 목표 달성 기여도를 평가한다. 평가결과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이의신청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회사 관계자는 “성과·역량 기반 인사제도는 공정한 평가가 선행될 때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현장 직원들이 창출하는 성과가 제대로 평가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 한 것”이라고 말했다.

직무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현장직 교육체계도 강화한다. 모든 직원들은 기술과 품질, 공정교육과 어학 및 경력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간 최소 48시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권순원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과거 고도 성장기에 자리잡은 호봉제는 임금 변동성이 약해 급변하는 시장 환경과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기 어렵다”며 “성과와 역량 중심 인사제도 도입은 직원의 업무역량 강화 및 생산성 향상의 중요한 모멘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