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성 건강 위협하는 자궁근종 및 자궁선근증, 해결책은?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은 여성들에게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부인과 질환으로, 35세이상 여성의 절반가량이 경험할 정도로 흔하다. 최근에는 스트레스나 수면 부족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젊은 여성들에게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자궁근종이나 자궁선근증은 불치병은 아니다.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거친다면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병변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고 아직까지는 부인과 정기 검진이 필수로 정착되지 않았기에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이렇게 내버려두는 경우 임신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으며, 각종 합병증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고, 심한 경우 자궁적출에까지 이를 수도 있다.


예전에는 자궁근종이나 자궁선근증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복강경이나 개복수술 등을 많이 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살을 절개해야 하고, 그만큼 시간이나 위험성 측면에서 감수해야 할 것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이제는 많은 여성들이 꺼린다. 그래서 최근에는 칼을 대지 않고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법은 하이푸 시술도 몸을 투과하는 초음파를 원스팟으로 모아 초점에서 발생하는 65도 이상의 열로 이상세포를 태워 없애는 원리를 이용한다. 전신마취가 필요 없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 시술은 고온의 열에너지를 이용한 시술법이고, 따라서 자궁을 비롯한 주변의 장기 조직들을 보존하는 것이 성공적인 치료의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여성질환은 전 연령대를 막론하고 발생하기 때문에 다양한 여성질환을 고려해 여성의 전 생애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여성질환 치료가 필요하다고 많은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최상산부인과 최동석 원장은 “단순히 병변을 치료하는데 주력하는 1차 치료를 넘어, 연령대 별 질환의 특성을 파악해 그에 맞는 맞춤 치료법을 적용하는 것이 이 시술의 장점”이라며 “ 가령 똑같은 자궁근종이라도 임신 계획이 있는 30대에 발생하면 가임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치료법을 택해야 하는 반면, 폐경 이후에 생기는 자궁근종이라면 낮은 확률이라도 악성종양, 즉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악성종양으로의 발전을 막는 방법으로 해당 질환에 대응하며 최근에는 고해상도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이미지와 초음파 동영상이 결합된 4D 영상기술까지 결합시켜 정교한 판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