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中企 CEO 10명 중 7명 “대기업 지정기준 10조원 상향 반대”
[헤럴드경제=정진영 기자] 중소기업 CEO 중 10명 중 7명은 정부가 대기업집단 지정기준을 자산총액 10조원으로 상향조정 하는 것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CEO 309명을 대상으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제도에 관한 의견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최근 정부가 입법예고한 대기업집단 지정기준을 자산총액 10조원으로 상향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8.6%(전혀 동의안함 17.8%+동의안함 50.8%)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현행 대기업 지정기준인 자산총액 5조원이 적정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71.2%(매우 적정함 6.8%+적정함 64.4%)에 달했다.



대기업집단 지정제도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78%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있는 개정 방향을 묻는 질문에는 ‘자산규모에 따른 차등의무 적용(56.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뒤 이어 ‘자산기준 조정(13.9%)’, ‘30대 기업집단 지정(11.0%)’ 등의 순이었다.

제도 개정으로 지정 해제된 대기업집단이라 하더라도 계속 적용돼야 할 의무로는 ‘대기업의 무분별한 중소기업 사업영역 진출 제한(75.1%, 복수응답)’을 꼽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기업의 일감몰아주기 등 불공정거래행위 규제(68.9%)’, ‘대기업의 비정상적인 지배구조 개선(33.7%)’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대기업집단 지정 기준 상향이 신산업진출 등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고는 하나, 영세 골목상권으로 진출할 수 있는 또 다른 길을 터준 것으로 변질될 수 있다”며 “창업주의 정신을 잃어버린 재벌 2ㆍ3ㆍ4세들의 탐욕을 견제하고, 시장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 마련이 절실한 상황으로, 대기업집단의 경제력집중을 견제하고, 생계형 업종을 지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병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123@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