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시‘국립 철도박물관 유치’불참 왜?
“市政에 역행…실익 없다” 자체 판단
지역 사학계 등 “지역성 외면” 비난쇄도



인천광역시가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를 외면해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인천은 한국철도 역사의 기득권을 갖고 있는 유리한 선점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 시도 조차하지 않아 인천시장의 핵심 시정인 ‘인천 가치 재창조’ 추진에 역행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말까지 국립 철도박물관 사업 예정지를 확정할 방침인 가운데 전국 11곳을 대상으로 최종 후보지 검토를 하고 있다.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를 신청한 전국 지자체는 전북 군산, 부산, 울산, 경남 창원, 경북 포항, 강원 원주, 경기 의왕, 충북 청주, 대전, 세종, 전남 나주 등이다. ‘철도 역사의 본산’이란 명분을 앞세운 이들 지역의 유치전은 치열하다.

국토부는 지난 2014년 국립 철도박물관 기본구상 용역 후 지난해 11월 ‘사전 타당성 조사 및 최적 후보지 선전용역’에 들어간 상태다.

1000억원의 전액 국비가 투자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인 국립 철도박물관은 5만여㎡에 약 2만여㎡의 박물관을 조성한다. 이 박물관에는 철도 입체 체험영상관, 철도역사 문화 전시관, 철도산업 과학기술관, 어린이 철도 테마파크 등이 들어선다.

국립 철도박물관을 유치하면 ‘상징성’과 ‘체험ㆍ관광자원’ 등 다양한 효과를 얻게 돼 지자체마다 유치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발빠른 준비를 해오고 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인천은 한국철도 역사의 시작지로서 처음부터 남다른 열정을 갖고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에 나서야 하는데도 실익이 없다는 이유로 시도 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2년 전에 해당 부서에서 실익이 없을 것 같아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를 위해 적극적이지 못한것 같다”며 “지금은 관련 실무자들이 흩어져 있기 때문에 당시의 정확한 유치 포기 이유를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역 사학계와 문화계는 “철도 역사에 인천을 빼면 첫 장을 열 수 없을 만큼 인천의 한국 철도역사는 이미 잘아는 사실인데도 인천시가 국립 철도박물관 유치를 포기한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인천의 가치와 지역성을 외면한 당시의 행정에 화가 난다”고 말했다.

이홍석(인천) 기자/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